[김정일 사망] 김정은, 북핵 6자회담에 임할까… 장례식후 내부수습이 관건

입력 2011-12-20 18:32


김정은은 북한의 대내외 당면과제를 어떻게 풀어갈까. 북한은 현재 안으로는 식량 및 경제난에 시달리고 밖으로는 국제사회로부터 비핵화 압박을 받고 있는 형국이다. 두 사안은 서로 긴밀하게 맞물려 있다. 내년 ‘강성대국’ 원년 선포를 앞두고 내부의 식량·경제난을 타개하려면 북핵 및 6자회담을 활용해야 하는 처지인 것이다.

따라서 김정은이 아버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장례를 마치고 어느 정도 내부수습이 이뤄지면 북핵 협상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많다. 김 위원장 사망으로 잠정 중단된 3차 북·미 회담이 첫 순서로 재개될 가능성이 높다.

김성한 고려대 교수는 20일 “선친이 비핵화 사전조치를 수용하고 미국과의 대화를 예정에 두고서 급사했기 때문에 이 트랙을 그대로 밟아갈 것”이라며 “식량지원을 받고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을 잠정 중단한 뒤 6자회담 재개로 가닥이 잡히지 않겠느냐”고 분석했다. 그는 “강성대국 진입을 공공연하게 선언한 상황이라 시간을 지체하기 어려운 만큼 서둘러 협상에 나올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 당국자는 “일단 북한의 상황을 봐 가면서 (6자회담) 관련국과 협의를 하며 대응해 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내부수습이 차질을 빚을 경우 북핵 협상이 불투명해질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1994년 김일성 주석 사망 당시에는 김 위원장이 20년간 후계자 지위에서 권력을 다져와 능수능란하게 대외 협상에 나설 수 있었지만 후계자 지명 이후 겨우 1년여가 지난 김정은이 고도의 협상력을 구사해야 하는 외교무대에 나설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남성욱 국가안보전략연구소장은 “권력에 대한 자신감이 전제되지 않는 한 북핵 협상은 당장 속도를 내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장기적으로 북한은 핵개발을 체제 유지의 보루로 여기고 위협과 대화를 반복하는 ‘벼랑 끝 전술’을 이어갈 공산이 크다. 북핵 문제와는 별개로 전통 우방국인 중국, 러시아와의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며 ‘중국식’ 개혁·개방에 적극 나설 전망이다.

중국과 함께 추진 중인 나선과 황금평 경제무역지대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남·북·러 가스관 연결 사업도 계속 이어갈 것이란 예측이다.

김 교수는 “김 위원장은 리비아의 카다피가 핵을 포기했기 때문에 실권했다고 여길 정도로 정권안보와 핵개발을 동일시했지만, 김정은은 다를 수도 있다”며 “북한의 핵 포기를 유도하기 위한 전략을 정부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