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사망] 軍 비상경계태세 2급발령… 전방순시 합참의장 긴급 복귀해 지휘
입력 2011-12-19 22:01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으로 2급 비상경계태세가 발령된 19일 전군에는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합동참모본부 위기조치반과 신현돈 작전본부장 등 주요 지휘관들은 국방부 지하에 마련된 지휘통제실에서 즉각 북한군의 이상 동향을 점검한 뒤 비상경계태세 강화조치를 논의했다. 주한미군과의 협의도 진행됐다. 한·미는 대북정보감시태세인 워치콘은 3단계를 일단 유지하기로 했다. 대북방어준비태세인 데프콘은 4단계에서 3단계로 격상하는 문제를 심각하게 검토했으나 북한군의 특이동향이 감지되지 않아 일단 현 단계를 유지키로 했다.
이날 전방 순시에 나섰던 정승조 합참의장은 동해안 최전방인 육군 717 초소에서 김 위원장 사망소식을 접하고 비화기를 통해 합참 수뇌부에게 대비태세강화를 지시했다. 정 의장은 초소에서 이명박 대통령의 전화를 받았으며 이 대통령은 “대비태세를 잘 갖추라”는 지시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의장은 오후 1시40분쯤 합참에 복귀해 군의 대비태세를 지휘했다.
전방지역에 대한 감시정찰도 대폭 강화됐다. 군은 23일로 예정된 애기봉 성탄등탑 점등식을 앞두고 증강 배치한 RF-4 대북 정찰기 등 정찰·감시자산의 운용을 강화했으며 주한미군 측에는 U-2 고공정찰기와 KH-11 첩보위성의 대북 정찰횟수 증강을 요청했다. 증원된 정보분석 요원들은 감시정찰장비들이 전송한 자료들을 시시각각 점검하며 북한의 도발 징후 파악과 분석 작업에 들어갔다.
한반도 상공을 정밀 감시하는 경기도 오산 공군 중앙방공통제소(MCRC)도 공중감시분석업무를 강화했다. 공군 전 비행기지의 전투기들은 유사시 즉각 출동할 수 있는 비상대기체제로 전환했으며 대공감시레이더망도 강화됐다. 공중침투에 대비해 동서부 전방지역에 경계임무를 수행 중인 전투기 숫자도 대폭 늘었다.
해군 작전사령부는 전술정보체계(KNTDS)를 통한 북한동향 감시 인력을 증원하는 한편, 서해 북방한계선(NLL) 등 북한과의 인접한 해역에 대한 감시활동을 강화됐다. 북한의 잠수함 침투를 감시하는 해상초계기 P3C의 초계비행 횟수도 늘렸다. 백령도와 연평도를 관장하는 서북도서방위사령부는 북한 해안지역의 해안포와 방사포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육군은 전 장병들의 휴가와 외출을 중단한 채 휴전선 인근 북한군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고 있다. 아울러 평시 닫아뒀던 초소에는 병사들을 추가 배치하는 등 전방지역 전역에 대한 정찰 인원을 대폭 보강했다.
한미연합사령부는 전구지휘통제체계(CENTRIX-K)를 통해 하와이에 있는 미 태평양군사령부와 긴밀한 정보공유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현재까지 북한군의 특이동향은 감지되지 않고 있다”면서 “우리 군은 비무장지대(DMZ)와 서해 등에서의 북한군 도발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철저한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