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사망] “실물부문 충격은 없을 듯” 전망 우세
입력 2011-12-19 18:21
우리경제에 미칠 영향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으로 우리나라 대외 경제 여건 악화는 당분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재정위기 등으로 변동성이 커진 상황에서 내부 리스크까지 추가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북한 체제 붕괴 등과 같은 극단적 시나리오로 이어지지 않는 한 실물 경제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는 전망이 높다. 정부도 이 같은 판단을 전제로 향후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는 한편 국민 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해 초동 대응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이재준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19일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일단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졌기 때문에 외국자본이 포트폴리오 조정을 하는 등 외환시장 등엔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그러나 “중장기적으로 실물부문 등에까지 충격이 올 것 같진 않다”고 전망했다.
다만 김 위원장 이후 북한 체제가 급변할 경우엔 모든 전제가 달라질 수 있다. 또 글로벌 금융위기 등과 잘못 맞물릴 경우 변동성이 극대화될 것에 대한 우려도 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이번 상황도 기존의 북한 관련 이슈처럼 단기적 불안으로 작용한다고 보고 있다”면서 “그러나 후계가 불안정한 부분, 국제 시장의 불안정성 등으로 인해 예상 밖의 변동성이 커질 것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 사망이 한국 경제의 대외 신인도에 미칠 영향도 당장은 제한적일 전망이다. 이미 한국 경제 평가에 이 정도 수준의 지정학적 리스크는 반영돼 있다는 분석에서다. 국제 신용평가사들은 한국에 대한 신용등급을 조정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토머스 번 무디스 부사장은 “북한 정권의 붕괴나 전쟁 발발이 중대한 리스크 요인이지만 지금 상황에서 그럴 가능성은 먼 이야기라고 생각한다”면서 “한국 경제나 금융 펀더멘털(기초여건)이 바뀌지는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피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김 위원장 사망이 한국 신용등급에 큰 위협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조민영 김아진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