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사망] 전군 비상경계령… NSC 긴급 소집

입력 2011-12-19 22:03

정부는 19일 낮 12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소식이 전해진 직후 위기관리 매뉴얼에 따라 비상대응 체제에 돌입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전군에 2급 비상경계태세를 발령했다. 북한군은 현재 특이 동향을 보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명박 대통령은 청와대 지하 벙커에 마련된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해 북한 동향 및 국내외 상황을 점검했다. 안광찬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실장은 “매뉴얼에 따른 대응조치가 차질 없이 이행되고 있다”며 “이 대통령은 국민들께 동요 없이 경제활동에 전념해 달라고 당부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어 오후 2시, 2시50분, 5시에 각각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과 각각 전화 통화를 갖고 한반도 평화·안정을 위해 긴밀히 협력키로 했다.

오후 3시 소집된 비상국무회의에선 후속 대응책이 주로 논의됐다. 이 대통령은 “이번 사태로 한반도 평화와 안정이 위협받아선 안 된다. 철저히 대비하고 국제사회와 긴밀한 협조체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국론이 분열되지 않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온 국민이 의연하게 대응해 달라”고 당부했다.

군은 전방지역에 RF-4 대북 정찰기 등 정찰·감시 전력을 늘려 북한군 동향을 면밀히 감시하며 정보분석 요원을 대거 증원, 도발 징후 파악 및 분석 작업에 들어갔다. 행정안전부는 공무원들에게 비상근무령을 내려 휴가 출장 외출 등을 자제토록 했다. 통일부는 북한에 체류 중인 국민 717명의 안전을 확인한 뒤 개성공단 외엔 방북 및 물자 반출을 보류한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북핵 6자회담 전망부터 불투명해지는 등 한반도 정세는 격랑에 휘말리게 됐다. 미국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를 비롯한 외교안보 부처의 한반도 라인이 비상대기 상황에 들어갔다. 미군 당국은 한·미 연합 방위태세를 강화토록 주한미군사령부에 지시했다. 제이 카니 미 백악관 대변인은 심야 성명을 통해 “동맹국인 한국, 일본과 긴밀히 접촉 중”이라며 “한반도 안정과 동맹국의 자유·안보를 위한 공약을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 정부는 “김 위원장 사망에 깊은 애도를 표한다”고 밝혔다고 신화통신이 전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