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사망] 정치권, 政爭 중단한채 관련 상임위 소집 ‘긴박’
입력 2011-12-20 01:24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소식에 정치권도 정쟁을 중단한 채 대책 마련을 위해 긴박하게 움직였다.
박희태 국회의장은 19일 김 위원장 사망 보도 직후 국회 운영위원장인 한나라당 황우여 원내대표에게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국방위원회·정보위원회 등 관련 상임위원회 긴급 소집을 지시했다.
박 의장은 “김정일 사망으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 한치도 흔들려선 안 될 것”이라며 “예측불허의 상황이 전개된 만큼 국민들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선국사, 후당사(先國事, 後黨事)’의 자세로 여야 의원 모두 함께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에 여야 원내대표는 오후 국회에서 접촉을 갖고 국회 차원의 대응책을 논의하기 위해 관련 상임위를 최대한 빨리 열기로 했다. 지난달 22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강행처리 후 지금까지 국회 등원을 거부해온 민주통합당도 비상시국이라는 점을 감안해 관련 상임위가 소집되면 국회에 등원키로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원유철 국회 국방위원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정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소집한 만큼 일단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며 “이르면 내일(20일) 오전 중에 국방부 장관 등을 참석시킨 가운데 상임위를 열어 비상대비상황 등을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회 외통위도 관계장관 등을 출석시킨 가운데 20일 오전 긴급 간담회를 가질 계획이다. 정보위는 이날 오후 긴급 전체회의를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국가정보원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비상대책회의 참석 등으로 불출석이 예상됨에 따라 20일 오전 9시로 회의 시간을 미뤘다.
한나라당 이두아 공보부대표는 “여야 모두 현 상황의 엄중함을 알고 있다”면서 “상임위 참석 대상자인 장관과 차관, 실무자들이 국가안전보장회의 및 부처별 회의에 참석 중이어서 정부가 대책을 마련할 시간을 주고 추후 상임위를 소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여야 원내지도부는 21일 국회 본회의를 열어 김 위원장 사망과 중앙선관위 홈페이지 디도스 공격에 대한 긴급 현안질의를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