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사망] 전군 비상경계령… 정부 안전보장회의 소집
입력 2011-12-19 13:49
정부는 19일 낮 12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 소식이 알려지자 비상 대응 태세에 돌입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국가안전보장회의를 긴급 소집하고 전군(軍)비상경계태세에 돌입토록 명령했다.
이 대통령은 김 위원장 사망 사실이 확인된 직후 오후 일정을 모두 취소한 채 청와대 지하벙커의 국가위기관리센터로 이동해 곧바로 소집된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주재하며 이 같은 조치와 함께 국가 비상시스템을 가동토록 지시했다. 회의에는 김황식 국무총리, 김성환 외교통상, 류우익 통일, 김관진 국방, 맹형규 행정안전 장관과 원세훈 국정원장, 하금열 대통령실장 등이 참석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위기조치반 및 작전부서 관계자들을 긴급 소집해 경계태세 강화 방안을 논의한 뒤 비상경계태세 강화조치를 하달했다. 원태호 합참차장과 신현돈 작전본부장 등 합참주요부는 국방부 지하에 있는 지휘통제실에서 긴급회의를 개최하고 전군의 비상경계상황을 점검했다.
군은 전방지역에 대북정찰감시 자산을 증강해 감시태세를 강화하고 있으며 한미연합사와 북한군 동향을 면밀히 관찰하고 있다. 합참과 주한미군은 대북정보감시태세인 워치콘을 현재 3단계에서 2단계로, 대북방어준비태세인 데프콘을 현재 4단계에서 3단계로 격상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합참은 주한미군 측과 협의해 U-2 고공정찰기의 대북 정찰횟수를 증강할 방침이다.
이 대통령은 국가안전보장회의에서 정부의 종합 대책이 마련되는 대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 국가 정상들과 직접 통화해 한반도 안보 상황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통상부는 모든 재외공관에 비상대기체제 돌입을 긴급 지시했다. 또 박석환 외교1차관 주재로 긴급 간부회의를 소집해 김 위원장 사망에 따른 외교적 대응방안을 모색 중이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