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이명박 당’에서 ‘박근혜 당’ 됐다
입력 2011-12-15 20:50
한나라당은 15일 국회에서 의원총회와 상임전국위원회를 잇따라 열어 최고위원회의 권한을 부여받은 ‘박근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구성하기로 의결했다.
이에 따라 박 전 대표는 대대적인 당 쇄신을 주도하는 것은 물론, 내년 4월 총선도 책임지게 됐다. 정치권에선 2007년 8월 대선후보 경선 이후 4년4개월 만에 한나라당이 ‘이명박당’에서 ‘박근혜당’으로 바뀌게 됐다는 해석이 나온다.
당 전면에 나선 박 전 대표의 일성은 “국민신뢰 회복”이었다. 박 전 대표는 의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떻게 국민 신뢰를 다시 얻는가”라며 “돋보기가 초점을 맞춰 종이를 태우는 것처럼 당의 초점을 국민의 신뢰 회복에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뢰 회복을 위한 키워드로는 ‘하나 됨’과 ‘희생’을 제시했다. 그는 “우리가 추구하는 최고의 가치를 향해 모두가 하나 돼 열심히 함께 노력해 나가자는 이 말 속에 친이, 친박 등 이런저런 문제가 다 녹아있다”고 말했다. 신뢰회복을 위해 당내 계파 해체가 급선무라는 얘기다. 친박근혜계 핵심인 최경환·윤상현 의원도 의총에서 “친박계는 전원 2선으로 후퇴하자”고 동조했다.
박 전 대표는 “당이 완전히 변해야 한다는 것이 절체절명의 가치”라며 강력한 정책·인적 쇄신에 나설 뜻임을 시사했다. 전날 쇄신파와의 회동에선 “인재가 모여드는 것에는 우리의 희생도 필요하다”고 밝히는 등 공천과정에서 현역 의원 희생이 불가피함을 강조하기도 했다. 당내에서는 인재영입과 물갈이 공천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받는 15대(1996년)와 17대(2004년) 총선의 장점을 담아내는 개혁공천을 추진할 것이라는 얘기가 돈다. 하지만 측근들은 “박 전 대표가 직접 인재 영입에 나서는 것은 공천에 개입하는 것으로 해석될 소지가 있다”며 “개입 가능성을 철저히 배제하고 시스템에 의한 공천 모범사례를 만드는 것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 선보일 ‘박근혜표’ 정책과 쇄신과정에서의 소통과 포용의 리더십 발휘 여부가 대권행보에 나선 박 전 대표의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