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1000번째 수요집회… 日이 ‘무릎’ 꿇을때까지

입력 2011-12-14 21:51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1000번째 수요집회가 14일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평화비 제막과 함께 개최됐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오전 11시30분 서울 중학동 일본대사관 앞에서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과 정대협 관계자, 정치권 인사 등 3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1000차 수요집회를 열었다. 집회에는 강일출, 길원옥, 김복동, 김순옥, 박옥선 할머니 등 위안부 피해자 5명이 참석했다.

김복동 할머니는 “이명박 대통령도 백발 늙은이들의 아우성을 모른다고 하지 못할 것”이라며 “우리 정부가 일본 정부를 향해 사죄와 배상을 요구해 달라”고 말했다. 윤미향 정대협 상임대표는 “1000회는 완성도 끝도 아니다”라며 “일본 정부가 우리 할머니들 앞에 무릎을 꿇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대사관 맞은편 인도에는 130㎝ 높이의 평화비가 세워졌다. 평화비는 한복을 입고 손을 무릎 위에 모은 채 작은 의자에 앉아 있는 위안부 소녀의 모습을 형상화했다. 옆자리의 빈 의자는 시민의 몫으로 남겨졌다.

중·고교생과 외국인도 참석했다. 서울 문창중학교에서는 학생 300여명이 단체로 참석했고, 경기도 양평시 양서고등학교 학생들은 종이로 접은 장미꽃 720송이를 만들어 왔다. 외국인들은 “반인륜적 비극이 후세에 반복되지 않도록 일본 정부에 항의하러 왔다”고 입을 모았다.

그러나 평화비는 일본 정부가 철거를 요구하면서 한·일 외교갈등으로 비화될 조짐이다. 후지무라 오사무(藤村修) 관방장관은 기자회견을 갖고 “(일본군 위안부 평화비) 설치가 강행된 것은 정말 유감”이라며 “외교채널을 통해 한국정부에 철거를 요구하겠다”고 말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관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외교통상부 조병제 대변인은 “우리 정부는 이번 평화비 설치가 시민단체가 추진한 일이고, 위안부 문제의 근본적인 책임이 일본에 있는 만큼 일본 정부가 법적 책임을 인정하고 진지한 배상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최승욱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