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근·김성식 탈당 선언’ 쇄신파의 반기…與, 탈당 도미노?

입력 2011-12-14 00:33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체제’ 출범을 앞두고 쇄신파 의원들의 탈당 선언이 잇따르면서 한나라당이 혼돈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당 해산 후 재창당’을 주장해온 쇄신파 정태근(서울 성북갑) 의원은 13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친박근혜계 의원들의 재창당 집단 거부 움직임을 비판하고 탈당 의사를 밝혔다. 정 의원은 의총 직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오늘로써 한나라당을 떠난다”고 전격 선언했다. 그는 “낡은 보수와 무책임한 진보가 정파적 이해만 갖고 대립하고 있는 현 정치가 바뀌기를 간절히 바랐지만 그렇지 못한 상황에 절망했다”며 “더 이상 이런 낡은 구조를 온존시켜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으로 탈당을 결심했다”고 말했다.

같은 쇄신파 김성식(서울 관악갑) 의원도 의총에서 조건부 탈당 의사를 밝혔다. 그는 “전국위원회에서 신당 창당 수준의 재창당을 하는 쪽으로 당헌 개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나는 허허벌판으로 나가 낡은 정치판과 싸우는 정치의병이 되겠다”고 말했다.

쇄신파 핵심인 정두언 의원도 재창당 요구가 의총에서 친박계의 집단 거부에 부닥쳐 사실상 무산되자 “청와대 ‘오더(지시)’대로 하다 (한나라당이) 망했는데 또 쇄신한다면서 어느 분의 오더대로 움직이고 있다”며 강력 반발했다. 권영진(서울 노원을) 의원 등 일부 서울지역 의원도 탈당을 저울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쇄신파 의원들의 집단탈당 사태 가능성도 제기된다.

하지만 쇄신파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박 전 대표 중심의 비대위는 재창당 가능성을 배제한 채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당내 주류인 친박계가 재창당에 반대하는 데다 전국위 의장(김학송 의원) 역시 친박계가 맡고 있어 전국위를 통해 재창당이 확정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그러나 쇄신파의 탈당으로 박근혜 체제는 출범 전부터 큰 상처를 안게 됐다. 또 집단탈당으로 이어질 경우 한나라당이 분당 위기로 몰릴 가능성도 있다. 여권발(發) 정계개편 현실화를 예상하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