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쇄신파 탈당에 곤혹… 재창당론 수용은 않더라도 탈당 의원 설득 나설듯
입력 2011-12-14 00:41
쇄신파 의원들의 탈당으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곤혹스러운 처지에 놓였다. 박 전 대표와 정책쇄신 행보에 보조를 맞춰오던 쇄신파들이 ‘박근혜 체제’가 완성되기 전에 반발하며 뛰쳐나가는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현재로선 논란의 핵심인 재창당을 명문화하는 비대위 안은 박 전 대표가 받아들이기 쉽지 않다는 게 복수의 친박계 인사들의 전언이다. 핵심 의원은 13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재창당을 명문화하라는 요구를 어떻게 받아들이겠느냐”면서 “내가 (박 전 대표) 입장이라도 그건 못 받는다”고 했다.
친박계에선 “어차피 재창당 요구는 탈당 명분쌓기용이었다”거나 “자기들 뜻대로 안됐다고 중간에 뛰쳐나가는 게 쇄신이냐”는 날 선 반응이 많았다. 재창당 요구가 박 전 대표를 흔들고 재창당 후 쇄신파가 당권을 잡기 위한 것이란 인식 때문이다. 이들이 박 전 대표에게 ‘불통’의 이미지를 덧씌우며 흠집낸 것에 대해 불쾌해하는 기류도 읽힌다.
다만 박 전 대표가 재창당론을 수용하지는 않더라도 탈당을 선언한 의원들이나 쇄신파들을 설득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다른 친박계 핵심 인사는 “이들은 박 전 대표와 쇄신을 함께해 나가야 할 사람들인데 이런 식으로 갈라져서 되겠느냐”고 말했다. 의총 직후 박 전 대표의 연락을 받은 최경환 의원은 곧바로 황우여 원내대표를 찾아와 수습을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병수 의원은 “재창당론을 이제 와서 받아들일 수는 없지만 (쇄신파를) 설득도 하고, 정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 중”이라고 했다.
당에서는 박 전 대표가 14일로 예정된 의원총회에 참석, 의사를 밝히는 등 직접 나서주길 바라는 목소리가 많다. 하지만 친박계에서는 그럴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보는 분위기다. 홍사덕 의원은 “비대위원장이 되면 나와서 포부를 밝히고 기자회견도 할 수 있겠지만 지금은 그런 상황이 아니다”며 “황 원내대표가 나서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대신 박 전 대표는 비대위 출범 이후 쇄신 행보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한 핵심 의원은 “박 전 대표의 등판 시기가 변경될 것 같지는 않다”면서 “비대위를 구성한 뒤 묵묵히 쇄신 행보에 매진하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