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창당 근본 이견 왜… 영남-수도권 총선 ‘온도차’가 원인

입력 2011-12-13 18:24


당 쇄신 방안을 놓고 한나라당 내 수도권과 영남권 의원들 간에 뚜렷한 온도차가 감지된다. ‘신당 수준의 재창당’을 주장하며 박근혜 전 대표와의 갈등까지 불사하고 있는 쇄신파 의원들은 대부분 수도권을 기반으로 한다. 반면 영남권 의원들은 “재창당 절차는 당력을 소모시킬 뿐 아니라 내상만 입는다”고 반박하고 있다.

양측의 이견은 내년 4월 총선을 앞둔 위기감 차이에서 기인된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서울시장 보궐선거 참패 후 수도권 의원들 사이에는 “내년 총선을 한나라당 간판으로 치르면 안 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이들이 민심을 돌려세울 특단의 대책으로 ‘재창당’ 카드를 꺼내 든 것은 이명박 대통령과의 자연스런 관계 단절과 중도개혁층까지 외연을 확대한다는 정치적 포석도 깔려 있다.

그러나 상당수가 친박근혜계인 영남권 의원들은 “지지율이 높은 박 전 대표가 전면에 등장하는 것 자체만으로도 국민들에게 당의 변화 이미지와 함께 신뢰를 높여줄 것”이라고 말한다. 영남권 한 의원은 13일 “이래 죽으나 저래 죽으나 죽는 것은 똑같다는 심정으로 수도권 쇄신파 의원들이 재창당을 말하지만 그런 소모적인 절차를 통해 만들어질 정책이나 인적 쇄신 결과는 비대위를 통해 나올 결과와 별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양측 의견차는 감정싸움 양상으로도 비화하고 있다. 쇄신파 권영진 의원은 12일 박 전 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아 당 운영의 전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친박계 의원들을 향해 “충신 아니라 간신이 하는 짓”이라고 꼬집었다. 그러자 친박계 허태열 의원은 이날 라디오방송에 나와 “젊은 초선 의원의 주체할 수 없는 객기”라고 질타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