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야권통합 의결” 의견 모아… 12월 4일까지 지도부 경선룰 등 실무협의 끝내기로 합의

입력 2011-12-13 22:23


민주당과 시민통합당, 한국노총이 첫 수임기관 합동회의를 열고 14일까지 지도부 경선 룰 등 통합 관련 실무협의를 끝내기로 합의했다. 18일 오전 통합을 의결키로 의견을 모으기도 했다.

13일 오후 2시 국회에서 열린 수임기관 합동회의에는 민주당 8명, 시민통합당 6명, 한국노총 3명 등 총 17명이 참석했다. 독자전대파 측 민주당 위원인 박양수 전 의원, 이현주 대구북구갑 지역위원장도 참석했다. 지난 7일 최대 쟁점인 경선 룰과 지도부 구성에 대한 합의가 끝난 상태라 이견은 많지 않았다. 독자전대파에서 “통합 날짜를 못 박아두고 협의를 진행하는 게 말이 되느냐”고 항의했지만 흐름을 돌리진 못했다.

합동회의에선 세부적인 업무 처리를 위해 총괄반·당헌반·강령정책반 등 3개 분과를 운영하기로 했다. 당헌반은 지도부 선출 방식 등을, 총괄반에선 정당 등록 업무를 맡고 강령정책반은 강령 조문화 작업을 담당한다.

지도부 선출을 위한 선거인단은 ‘대의원 30%, 당원·시민 70%’로 구성된다. 예비경선(컷오프)과 1인 2표제가 도입된다. 대의원 선거인단은 양당 대의원을 동수로 꾸리고 민주당의 당비당원 12만명은 선거인단으로 자동 인정된다. 특히 시민 누구나 인터넷과 모바일, 현장투표를 통해 지도부 선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통합정당 명칭은 민주진보당·시민민주당·민주통합당·혁신민주당 등을 놓고 공모 중이다. 민주당 조정식 의원은 “분과별로 즉시 업무와 관련된 실무 논의를 시작해 14일 중 마칠 계획”이라며 “이 안을 민주당과 시민통합당 내부에서 논의하고 다시 전체회의에서 합의하는 과정을 거쳐 18일 오전 통합을 의결하겠다”고 말했다.

남은 장벽은 전당대회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여부 및 법적 판단이다. 통합에 불만을 품은 민주당 일부 원외지역 위원장들은 14일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내겠다고 벼르고 있다. 하지만 신청을 내는 것이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라 섣불리 나서는 걸 꺼려하는 분위기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한 지역위원장은 “자기 이름으로 신청서를 내면 내년 총선 공천은 사실상 물 건너간다”며 “선뜻 나서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아울러 전대 이후 독자전대파 박지원 의원의 당내 입지도 크게 흔들리고 있다. 박 의원을 지지하는 의원 모임인 ‘수요회’ 멤버들은 여의도에서 조찬모임을 갖고 “통합 의결 과정에서 정족수 문제가 있지만 당론으로 결정된 사항인 만큼 전대 결정을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원외 지역위원장들도 설득해 소송을 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원철 엄기영 기자 won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