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 테마주의 함정] DJ-IT주·盧-충청 건설주·MB-토목주… 대부분 인기 치솟다 추락
입력 2011-12-13 18:31
정치인 테마주의 등장은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정치인 테마주는 1990년대부터 주로 정권교체를 앞둔 시기에 차기 대선후보의 주요 공약이나 인맥과 함께 형성됐다. 이 중 권력을 얻은 정치인의 테마주는 비교적 길게 인기를 얻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단기간 내에 급락했다.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정권교체를 앞둔 대통령 임기 말에는 전체적인 경기와 시황이 나빠지고, 이에 따라 테마주가 득세한다. 투자자들이 합리적으로 투자를 할 만한 업종을 찾기보다 업황과 관계없이 오를 만한 한두 개의 개별 종목을 찾는 분위기가 조성되기 때문이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대통령 임기를 따라 흐름이 움직인다고 해서 ‘5년 주기설’을 얘기하기도 한다.
최근 들어 안철수·박근혜·문재인 테마주 등 대선 관련 테마주가 득세하는 것도 이런 흐름과 무관하지 않다. 1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둔 2007년 말에도 주식시장 상황은 비슷했다. 당시 이명박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와 관련해 ‘대운하 수혜주’, 정동영 민주당 대통령 후보 관련으로는 ‘대륙철도 수혜주’가 각각 등장했었다.
김대중 대통령이 집권한 97년부터 2000년까지는 정부가 중소·벤처기업 육성에 역점을 두면서 전자기술(IT)과 인터넷 테마주가 인기를 끌었다. 사료·비료업체 등 대북 관련 기업들이 수혜주로 각광받기도 했다. 노무현 대통령 시절에는 행정수도 이전이 불거지면서 대전·충청 지방에 연고를 둔 건설주가 급등했다.
테마주 혹은 수혜주라는 ‘이름표’를 달고 급등했던 주식의 결말은 비참했다. 2007년 12월 대선 직전에 3만원까지 올랐던 이화공영은 대표적인 대운하 테마주였다. 이화공영의 현재 주가는 2700원대에 불과하다. 같은 대운하 테마주로 분류됐던 신천개발(씨앤에스자산관리)도 2007년 3만원대를 오르내리다가 현재 2900원대까지 추락했다.
매번 비슷한 움직임을 반복하다 보니 상장회사들은 테마주로 분류되기를 꺼린다. 우리투자증권 강현철 투자전략팀장은 “테마주로 분류되면 1∼2년쯤은 투자자의 주목을 받지만 결국에는 나락으로 치닫는 게 일반적”이라며 “상장사도 테마주가 되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증시 전문가들은 정치인 테마주를 절대 추천하지 않는다. 정상적인 기업분석이 힘들고, 언제 급락해 손실을 입힐지 짐작할 수 없기 때문이다. 대우증권 안병국 투자분석부장은 “큰 손실을 입지 않으려면 정치인 테마주의 유혹에 결코 넘어가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경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