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내신평가 개편] 학교 현장 반응 “고교등급제 고착화 가능성”
입력 2011-12-13 21:58
교원단체와 교사들은 절대평가 방식이 가져올 부작용을 우려했다. 1996년 절대평가가 도입됐다가 성적 부풀리기 등 부작용으로 2005년 다시 상대평가로 전환된 전례가 있는 만큼 치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13일 “절대평가 방식의 성취평가제 도입으로 과열 성적 경쟁이 지양되고 학생의 진정한 성취 수준이 평가될 수 있을 것”이라고 논평했다. 그러나 “내신의 객관성 확보가 제도의 성패를 가르기 때문에 엄정한 내신 관리가 필수”라고 단서를 달았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성명을 내고 “상대평가와 절대평가가 뒤섞인 교과부의 이번 정책은 두 요소의 단점만 드러낼 것”이라고 비판했다. 전교조는 “실업계만 절대평가를 실시하고 인문계 중·고교는 현행 상대평가 체제에 절대평가 요소를 도입하는 것이어서 절대평가가 아닌 혼합평가라고 불러야 한다”면서 “원점수와 표준편차 등 상대평가 요소가 그대로 남아 있는 한 교육 현장의 혼란만 가져올 것”이라고 우려했다.
절대평가가 일부 대학이 암암리에 실시하는 고교등급제를 고착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참교육학부모회 장은숙 회장은 “전국 고교가 특목고, 자사고, 자율고, 일반고로 서열화된 상황에서 절대평가의 원점수, 표준편차, 과목평균 등으로 각 학교의 성적이 고스란히 드러나면 대학이 고교등급제를 더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그러나 정작 특목고에서는 회의적인 반응이 나왔다. 서울외국어고 김강배 교감은 “특목고에서 절대점수가 좋은 학생이 많이 나올 수 있다지만 표준편차와 과목평균 등 여러 요소가 함께 표시되는 한 이는 전혀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학교마다 앞다퉈 시험을 쉽게 내 A를 남발하는 등 부작용이 확실시되기 때문에 특목고에 유리한 정책이라기보다 내신 무력화 정책에 가깝다”면서 “수능과 대학별 고사의 영향력이 강화되면 사교육 시장만 커질 것”이라고 비판했다.
정부경 기자 vic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