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말 친인척 비리 되풀이…檢, MB주변 정조준

입력 2011-12-13 00:10


검찰이 진행 중인 각종 권력형 비리 수사에서 ‘실세’로 통했던 대통령 주변 인물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정권 말기마다 불거졌던 대통령 친인척, 측근비리 파문이 이번에도 반복되는 양상이다. 검찰 관계자는 12일 “대통령과의 관계는 수사 고려 대상이 아니다. 드러나는 대로 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의원실 직원 4명 연루 의혹=서울중앙지검 특수3부(부장검사 심재돈)는 이상득 의원실 보좌관 박모(46·구속)씨가 받은 돈의 용처와 로비 연루자들을 추적하고 있다. 검찰은 박씨가 이국철 SLS그룹 회장과 유동천 제일저축은행 회장에게서 받은 7억5000만원 중 수억원을 세탁하는 과정에 의원실 직원 계좌를 사용한 정황을 포착했다.

지난 8일 이 의원실의 5급과 9급 여직원 2명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했으며, 비서관 2명이 추가로 자금 송금에 관여한 단서를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박씨가 뭉칫돈을 받아오면 의원실 여직원이 500만∼1000여만원씩 쪼개 박씨가 지정한 계좌로 보낸 것으로 파악했다. 2000만원 이상 현금을 거래할 경우 금융정보분석원(FIU) 감시망에 걸릴 수 있다는 점을 고려했다는 게 검찰 판단이다. 검찰은 박씨가 수수한 돈이 의원실 경비나 회식비로 쓰였을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검찰은 이 의원의 소환도 저울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4급 보좌관으로서는 거액을, 그것도 장기간 여러 차례 수수한 데다 의원실 직원들까지 동원한 정황도 나온 만큼 이 의원이 관련 사실을 보고받았거나 묵인했을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검찰 관계자는 “이 의원이 개입한 증거나 진술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고 말했다.

◇저축은행 돈 받은 대통령 사촌처남=김재홍(72) 세방학원 이사는 현 정부 들어 대통령 친인척 비리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두 번째 사례다. 검찰은 2008년 8월 국회의원 공천 대가로 30억원을 받은 김윤옥 역사의 사촌 언니 김옥희씨를 구속했다. 저축은행 비리 합동수사단이 김 이사의 사전 구속영장을 청구한 것은 그의 혐의를 뒷받침할 증거를 상당히 확보했기 때문이다.

합수단은 김 이사에게 2009년부터 2∼3년간 4억원 안팎을 건넸다는 제일저축은행 유 회장의 진술을 확보한 뒤 관련자 조사와 계좌추적 등을 통해 물증 축적에 주력했다. 이에 따라 김 이사를 징검다리로 한 유 회장의 구명 로비가 금융감독 당국으로 이어졌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합수단의 다음 목표가 될 전망이다.

검찰은 또 막후실세로 꼽히는 김 이사가 유 회장 부탁을 받고 금감원 간부의 인사에 개입한 단서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가 합수단이 하고 있던 유 회장 로비 의혹을 따로 떼어 공보 관련 업무를 맡기로 한 것은 그만큼 사안을 심각하게 보고 있다는 뜻이다.

지호일 김현길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