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공동체 희망을 쏜다] “사회적 기업, 초기 비용 많이 들어 대기업이 선도해야”

입력 2011-12-12 20:27


(2부) 사회적 기업을 키우자

“대기업들이 사회적 기업 설립에 앞장서야 합니다. 특히 최고경영자(CEO)의 의지가 중요합니다.” 지난 2월 취임한 이광호(51·사진) 포스위드 사장은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사회적 기업은 초기 비용이 많이 들어 대기업이 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사장은 포스코에서 1982년부터 29년간 근무한 포스코맨이다.

포스위드 자본금 16억원은 포스코가 전액 출자했다. 이후 작업장이나 설비 증설에 수십억원을 투자했다. 일감도 제공했다. 현재 포스위드 사업의 80%는 포스코 관련 업무다. 나머지 20%도 포스코 계열사에서 나온다.

이 같은 포스코의 전폭적 지원 덕분에 포스위드의 장애인 직원들의 처우는 상당히 좋다. 이 사장은 “3개월간의 수습기간과 6개월∼2년의 계약직 등의 평가기간을 거치면 정규직으로 채용되고 56세까지 정년이 보장된다”고 말했다. 포스위드는 매년 50여명을 신규채용하는데, 포항 본사 인근의 장애인고용공단에 등록된 입사 희망자만 150명이 넘는다.

이 사장은 포스위드가 사회적 기업이자 국내 1호 ‘대기업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장애인 표준사업장으로 인정받으려면 장애인이 상시 근로자의 30% 이상을, 그중에서도 절반 이상은 중증장애인이 차지해야 한다. 포스위드는 출범 1년 만에 장애인 고용률이 39%까지 올랐고, 현재는 53%(329명 중 173명)를 기록하고 있다.

이 사장은 포스위드의 사업 다각화를 고민하고 있다. 포스코와 그 계열사에 편중된 사업 구조에서 벗어나 다른 업체의 외주를 적극적으로 유치해 명실상부한 독립기업으로 만들 계획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 직원들을 철저히 교육하고 작업 품질을 개선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은 잘할 수 없다’는 편견을 갖고 단가를 대폭 낮춰 달라는 요구가 많아 곤혹스럽다고 했다. 포스위드 관계자는 “‘일감을 억지로 뺏어간다’며 반발하는 유사업체 때문에 사업 영역을 넓히는 게 힘들다”며 “장애인 일자리 창출이라는 공익적 활동에 대한 사회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포항=김정현 기자 k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