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민주당의 야권 통합 全大 이후 과제들

입력 2011-12-11 00:17

민주당이 어제 서울 잠실체육관에서 임시 전국대의원대회(전대)를 열어 우여곡절 끝에 소위 민주진보세력과의 통합을 의결함으로써 야권 정비작업이 가시권에 접어들었다. 통합 대상은 민주당과 ‘혁신과통합’이 주축인 시민통합당 그리고 한국노총을 비롯한 노동계다. 새로운 통합정당의 지도부는 통합전대를 통해 이르면 연내에 구성될 예정이다.

야권 통합의 목표는 분명하다.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승리하기 위한 것이다. 야권이 분열된 상태로 선거를 치를 경우 여당에 이길 수 없다는 판단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사상 첫 여야 간 정권교체를 이룬 DJP 연합과 가깝게는 10·26 서울시장 선거 등 야권 연대 위력이 확인된 사례가 적지 않아 통합은 야권이 가야 할 길이라 하겠다. 통합이 성공적으로 이뤄져 외연이 확대되면 선거환경은 야권에 유리하게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 민심의 뭇매를 맞고 있는 한나라당이 아직 수습 방안조차 마련하지 못하고 내홍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반대파들이 전대 효력정치 가처분 신청 등 법적 소송에 나서겠다고 해 다소 진통이 있겠지만 통합정당은 큰 무리 없이 출범할 수 있을 듯하다. 민주당과 시민통합당, 노동계가 이미 통합수임기관 합동회의를 17명으로 구성하고, 통합정당 최고위원은 11명으로 한다는 데 합의한 바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통합정당이 뿌리 내리기 전까지 신경 써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우선 총선 공천을 둘러싼 잡음이 불거지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한다. 민주당 내 통합 반대파들 움직임은 공천을 보장하라는 것과 다름없다. 여기에다 시민통합당 핵심인 노무현 전 대통령 측근들, 그리고 노동계가 국회의원 공천과 관련해 일정 지분을 요구하며 티격태격하는 구태를 보일 경우 유권자들은 한순간에 등을 돌릴 것이다. 정책과 관련해 복지 확대에는 한목소리를 내겠지만,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대북문제 등 주요 국정현안을 놓고 내부에서 이견이 분출될 소지가 커 보인다. ‘반(反)MB’ 이상의 가치와 비전을 보여주지 못한 채 ‘MB OUT’만 외치며 ‘길거리 정치’에 몰두하는 것은 아닌지도 우려스럽다. 통합정당 수뇌부는 일부 강경파에 끌려 다니지 말고, 시대정신에 어울리는 참신한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