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근무 확산] 획일화된 근무형태 다양화 공직 생산성·사기 향상

입력 2011-12-11 18:49

정부가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것은 획일화된 공무원의 근무형태를 다양화함으로써 공직 생산성과 사기를 높이기 위해서다.

공무원들이 자신의 여건에 맞춰 근무 시간과 장소를 결정, 육아 고민을 덜고 학업 등 자기계발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한다는 취지다. 또 민원실 등에서 모든 공무원이 같은 시간대에 근무하지 않고 시차를 두고 근무하면 대국민 서비스 시간이 그만큼 늘어나 보다 나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제로 행정안전부가 유연근무제를 시행 중인 공무원 1만2292명을 대상으로 최근 설문조사한 결과 ‘여가 및 자기계발’을 위해 신청했다는 응답이 23.2%(2854명)로 가장 많았다. ‘효율적인 업무수행’ 17.9%(2202명), ‘임신 및 육아’ 16.6%(2035명), ‘주말부부’ 5.5%(679명) 등을 합치면 단지 ‘출퇴근 편의’(22.2%, 2728명)를 위해 유연근무를 한다는 응답보다 배 이상 많았다. 나머지는 ‘기타’였다.

이미 유한킴벌리와 CJ, 삼성SDS, KT 등 민간기업은 물론 선진 외국 정부는 오래전부터 자율출퇴근제와 재택근무제 등 다양한 형태의 유연근무를 시행 중이다.

문제는 정부부처에 비해 지자체 공무원들의 유연근무 참여율이 낮다는 점이다. 이 같은 현상은 보수적인 조직문화와 이로 인한 인사상 불이익을 우려하기 때문이라는 게 행안부의 분석이다.

출퇴근 시간을 한두 시간 당기거나 늦추는 ‘시차 출퇴근형’에 집중된 근무형태를 보다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유연근무를 하고 있는 공무원 중 94.5%는 ‘시차 출퇴근형’이다. 재택근무 형태는 고작 1%에 불과했고, 스마트워크센터에 근무하는 비율도 2.4%다.

여성이 아닌 남성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부분도 개선해야 할 대목이다. 유연근무 중인 국가공무원 가운데 남성 비율은 69.6%이며, 지자체는 59.2%로 여성(40.8%)보다 훨씬 높다.

행안부 관계자는 11일 “가장 큰 걸림돌인 대면보고를 줄이고, 언제 어디서라도 상시 보고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정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일송 기자 il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