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박근혜 체제’ 출범 앞두고… 각 계파 박 前대표 견제 본격화
입력 2011-12-11 22:34
‘신(新)박근혜 체제’ 출범이 임박한 가운데 당내 제 세력들의 박 전 대표에 대한 견제도 본격화하고 있다.
‘민본 21’ 등 쇄신파 의원들은 박 전 대표가 중심이 돼 비상대책위원회를 운영해야 한다고 말한다. 비상상황인 만큼 평시와 같은 집단지도체제 형식보다 전권을 가진 비대위원장이 책임 있게 당 쇄신을 주도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남아 있는 당 지도부 역시 ‘박근혜 비대위원장’ 체제로의 조기 전환에 힘을 싣고 있다. 유일하게 남아있던 나경원 최고위원도 사퇴 의사를 밝힌 상태다. 당 대표 권한대행을 맡은 황우여 원내대표는 12일 오전 최고·중진연석회의와 의원총회를 소집해 비대위 체제 전환에 대한 당내 의견을 수렴할 방침이다.
이에 앞서 친박근혜계 중진 홍사덕 의원과 정몽준 전 대표도 3선 이상 중진 모임을 12일 오전 열자고 제안했다. 이 자리에서 박 전 대표 중심의 비대위 구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을 시도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친박근혜계는 공개적인 입장 표명을 자제하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전권을 가진 비대위원장 체제를 총선 때까지 유지하는 것에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하지만 친이명박계와 당내 대권주자들의 생각은 다르다. 김문수 경기지사는 언론 인터뷰에서 “당헌·당규를 뛰어넘는 상위 개념의 비상국민회의를 소집해 정치세력을 모으고 박 전 대표와 외부 인사가 공동의장을 맡아야 한다”고 말했다. 정몽준 전 대표는 보도자료를 내고 “비상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임시 조치를 취하더라도 곧바로 정상 절차를 밟아야 지도부가 권위를 갖고 근본적인 개혁을 해나갈 수 있다”며 조기 전당대회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친이계 조해진 의원도 “새 지도부는 박근혜 정몽준 이재오 등 당의 실질적인 지도자가 모두 참여하는 거당체제가 돼야한다”며 “당헌·당규 개정 후 정식으로 전당대회를 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쇄신파 일부 역시 박 전 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더라도 총선 전에 재창당 또는 신당 창당을 위한 전대를 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두언 의원은 트위터에 “‘박근혜 체제’의 사명은 강력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재창당을 완수하는 것”이라고 적었다. 그는 “그동안 박 전 대표 눈치만 보며 살던 일부 의원이 ‘이제 우리가 당권을 잡았다’고 기지개를 켜기 시작했다”며 “그렇게 희희낙락하다가는 바로 나락으로 (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12일 의총에서 비대위 체제로 결론이 내려지지 않으면 전국위원회가 소집되는 등 과도체제 구성을 둘러싼 계파 간 충돌이 극대화될 전망이다. 박 전 대표의 등판 시기와 방식 또한 달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장희 유동근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