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교육 수출 효과… 산업 수출과 연계 국가 이미지에도 기여
입력 2011-12-11 17:52
스마트교육 수출은 교육전문가 등 인적자원, 정보화 시설과 장비 등 물적 자원, 학교 설립과 교육과정 운영방법을 포함한 정보자원을 비롯해 우리나라 문화와 산업을 통째로 전파해 ‘교육 외교’를 선도한다는 점에서 각광받고 있다.
최근 인도네시아 국립대, 말레이시아 말라야 국립대, 태국 출라롱콘대, 베트남 호찌민 인문사회과학대 등은 한국교류재단과 협약을 맺고 e러닝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한국학 강좌를 개설했다. 강좌에선 ‘한류와 아시아 팝문화’를 비롯해 ‘한국의 자동차 산업-한국의 경제·사회적 발전’ ‘세계화와 한국의 재벌’ 등 우리나라 대중문화, 정치, 사회, 경제 전반에 대한 내용이 다뤄진다.
스마트교육 수출은 곧 소프트웨어와 디지털 콘텐츠 수출사업과도 연계된다. 각국 정부가 동남아시아, 중남미, 서아시아, 아프리카 등지에 해외협력 사업으로 진행했던 교육정보화 원조사업은 민간시장으로 확대된 지 오래다. 이미 일본, 프랑스, 호주 등 스마트교육 활성화 국가가 자국의 스마트교육 시스템을 들고 동남아 시장에 진출했다. 이외에도 10개국 이상의 스마트교육 수출사업에 민간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우리나라 기업들도 새 시장인 개발도상국 진출에 주력하고 있다. KT와 SK텔레콤 등은 이미 우즈베키스탄, 인도네시아 등에 스마트교육 기반시설과 콘텐츠 수출을 시작했다. 이들은 현지 브랜드 이미지에 ‘스마트교육 국가의 기업’ 이미지를 덧입혀 발판을 넓혀 가고 있다.
그러나 일선 교원 및 교육공무원의 인식 개선과 협조가 없으면 반쪽 수출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교사 개개인의 능력, 경험과 스마트교육의 연계 없이 단순히 시스템 지원만으로는 스마트교육을 국가적 산업으로 확대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11일 “교육정보화 지원을 위해 해외 개도국에 교직원을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수당과 생활환경 등의 문제로 지원하겠다는 사람이 많지 않다”면서 “정부 차원의 지원 및 고용휴직 인정, 안정적인 생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