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여오는 검찰 수사…이상득 불출마 선언하나
입력 2011-12-10 01:35
검찰 수사의 칼끝이 이명박 대통령 형인 한나라당 이상득 의원을 향하자 이 의원 거취 문제에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각에선 보좌관의 억대 뇌물수수 혐의가 불거지면서 이 의원이 심각하게 거취를 고민했고, 조만간 총선 불출마를 포함한 입장을 정리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이 의원은 9일 자신의 보좌관이 SLS그룹 측으로부터 수억원대의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체포된 데 보도자료를 내고 “제 보좌관의 불미스러운 사건에 대해 뜬눈으로 밤을 지새웠고 할 말을 잃었다”며 “송구스러운 마음을 금할 수 없다”고 사과했다. 또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보좌관을 잘못 관리한 도의적 책임을 크게 느끼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이 사과문에서 ‘도의적 책임’을 거론한 것과 관련, 여권 관계자는 “뇌물수수 연루 사건과 이 의원이 직접 상관없더라도 보좌관이 개입된 게 확인된 만큼 거취를 고민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이제 입장 발표는 시기 선택만 남았다”고 말했다.
비리 척결을 선언했던 청와대도 사건마다 청와대와 이 대통령 친·인척 개입 의혹이 잇따라 불거지자 무척 곤혹스러운 표정이다. 앞서 임태희 대통령실장은 측근비리 문제로 한창 시끄럽던 지난 9월 27일 청와대에서 법무장관 국세청장 경찰청장 등이 참석한 ‘권력형 비리 근절 대책회의’를 주재한 뒤 기자실을 찾았다. 그는 “대책회의를 정례화해 비리를 철저히 예방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로부터 두 달 반이 지난 요즘도 상황은 달라지지 않고 있다.
저축은행 사건에선 이 대통령 사촌처남이 출국 금지됐다.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 관련 의혹도 더 커지고 있고 선관위 디도스 공격 사건에도 청와대 행정관 연루 의혹이 불거졌다. 정례화한다던 대통령실장 주재의 권력형 비리 근절 대책회의는 그동안 한 번도 열리지 않았다. 대신 민정수석실 주관 실무회의에서 비리 첩보를 수집·분석해 왔지만 진행 상황을 묻는 기자들 질문이 나올 때마다 청와대는 “특별한 게 없다”며 침묵해 왔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 같은 상황에 대해 “현재 불거진 사건들은 이미 오래전에 벌어진 일들로 나올 만한 건 다 나온 게 아닌가 싶다”면서도 “최근 검찰 경찰 등과 함께 측근, 친·인척, 청와대 인사 관련 첩보를 다시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청와대 내부 담당 부서 간 회의, 외부 사정기관과의 회의 등을 열고 있지만 은밀히 이뤄진 (측근)비리의 구체적 정보를 사전에 포착하기엔 한계가 있다”며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청와대는 측근비리 문제가 확대되지 않도록 다시 한번 특단의 조치를 내놓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야당은 대대적 공세에 나섰다. 민주당 박주선 최고위원은 “보좌관이 (돈을) 받았다고 그 사람만 처벌하면 국민적 분노를 자초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같은 당 이용섭 대변인은 “지금 드러나는 건 빙산의 일각”이라고 했고 통합진보당은 “밑동까지 썩은 정권 말기 현상”이라 비판했다.
태원준 한장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