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거지는 사건마다… 靑 측근·친인척 단골

입력 2011-12-09 18:34

임태희 대통령실장은 측근비리 문제로 한창 시끄럽던 지난 9월 27일 청와대에서 법무장관 국세청장 경찰청장 등이 참석한 ‘권력형 비리 근절 대책회의’를 주재한 뒤 기자실을 찾았다. 그는 “대책회의를 정례화해 비리를 철저히 예방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로부터 두 달 반이 지난 요즘 불거지는 사건마다 청와대와 이명박 대통령 친·인척 개입 의혹이 거론되고 있다.

이 대통령 친형인 한나라당 이상득 의원은 자신의 보좌관이 이국철 SLS그룹 회장에게 억대 금품을 받은 혐의로 체포되자 9일 “할 말을 잃었다”고 공식 사과했다. 저축은행 사건에선 이 대통령 사촌처남이 출국 금지됐다.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 관련 의혹도 더 커지고 있고 선관위 디도스 공격 사건에도 청와대 행정관 연루 의혹이 불거졌다.

비리 척결을 선언했던 청와대는 무척 곤혹스러운 표정이다. 정례화한다던 대통령실장 주재의 권력형 비리 근절 대책회의는 그동안 한 번도 열리지 않았다. 대신 민정수석실 주관 실무회의에서 비리 첩보를 수집·분석해 왔지만 진행 상황을 묻는 기자들 질문이 나올 때마다 청와대는 “특별한 게 없다”며 침묵해 왔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 같은 상황에 대해 “현재 불거진 사건들은 이미 오래전에 벌어진 일들로 나올 만한 건 다 나온 게 아닌가 싶다”면서도 “최근 검찰 경찰 등과 함께 측근, 친·인척, 청와대 인사 관련 첩보를 다시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청와대 내부 담당 부서 간 회의, 외부 사정기관과의 회의 등을 열고 있지만 은밀히 이뤄진 (측근)비리의 구체적 정보를 사전에 포착하기엔 한계가 있다”며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청와대는 측근비리 문제가 확대되지 않도록 다시 한번 특단의 조치를 내놓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야당은 대대적 공세에 나섰다. 민주당 박주선 최고위원은 “보좌관이 (돈을) 받았다고 그 사람만 처벌하면 국민적 분노를 자초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같은 당 이용섭 대변인은 “지금 드러나는 건 빙산의 일각”이라고 했고 통합진보당은 “밑동까지 썩은 정권 말기 현상”이라 비판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