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교 홀대’ 교과서 개선 위해선 문제제기 그치지 말고 집필자에게 합리적 자료 제공을

입력 2011-12-09 17:45


개화기 개신교의 역할을 축소 기술한 ‘한국사’ 교과서를 개선하기 위해선 집필자들에게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과학기술부의 역사교과서 집필기준을 바꾸는 데 주력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최근 한국교회발전연구원이 주최한 ‘한국 근현대사와 기독교’ 연구발표회에서 고등학교용 한국사를 대표집필한 주진오(상명대) 한철호(동국대) 교수는 “교과부의 역사교과서 집필기준이 엄격한데다 출판사들이 검정을 통과하기 위해 최대한 생략하거나 보수적으로 기록하기 때문에 개신교 서술 보강이 쉽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주 교수는 “방대한 역사를 400쪽으로 축약시킨 한국사 교과서를 놓고 100% 만족하는 사람은 어느 누구도 없다”면서 “교과서는 집필자가 쓰고 싶다고 해서 마음껏 쓸 수 있는 책이 아니라 교육과정에 입각해 검정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심지어 집필자의 학문적 입장과 배치되는 경우도 있다”고 소개했다.

주 교수는 “다종교 사회에서 개신교의 주장대로 교과서를 수정한다면 타 종교에서도 분명 문제제기를 하게 될 것”이라며 “따라서 출판사 입장에선 논란거리가 될 것을 피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분량을 동등하게 기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만약 교과서에 문제가 있다면 교과부를 통해 시정을 요구하거나 집필자들에게 좋은 자료를 권장하고 대화에 나서는 게 더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한 교수도 “출판사에선 4억∼5억원을 투자해 교과서를 제작하는데 교과부 검정을 통과하기 위해선 집필자들의 서술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면서 “집필자들에게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개신교 역사를 제시하고 교과서에 수록될 만한 순도 높은 역사 자료를 제공해주는 게 보다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박명수 서울신대 교수는 “역사교과서가 전통종교 및 민족종교에 매우 관대하고 개신교에 대해선 배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한국 근현대사에서 기독교의 위치를 바로 알리기 위해선 무엇보다 교육과정 집필기준이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