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공공기관 채용 확대가 민간으로 확산되길

입력 2011-12-08 17:42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이 7일 국민일보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올해 일자리 증가에 대한 기저효과와 세계경제 위기 여파로 내년 일자리가 올해보다 줄어들 것”이라며 “내년 공공기관의 채용 규모를 올해보다 크게 늘리겠다”고 말했다. 재정부는 내년 채용 규모를 올해보다 20%가량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럽 재정위기와 세계경기 침체로 인해 내년 우리나라 신규 일자리 규모는 올해보다 훨씬 감소할 것으로 우려된다. 삼성·LG·현대·대신경제연구소 등에 따르면 내년 신규 취업자는 20만명대가 될 것으로 추산된다. 재정부가 밝힌 올해 10월까지 신규 취업자 규모(40만7000명)의 절반을 약간 웃도는 정도다. 일자리 감소는 가계수입 하락→부채 증가→소비 감소→내수 위축→고용불안의 악순환을 초래한다. 우리 경제의 성장동력을 떨어뜨리지 않으려면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선제적 대응이 절실하다.

정부가 공공분야에서 취업 물꼬를 트겠다고 다짐한 것은 바람직한 방향이다.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의 은퇴가 본격화되고, 청년 구직자가 늘어나는 추세를 감안하면 일자리 대책이 그 어떤 정책보다 중요하다. 정부는 청년 구직자를 위한 일자리 확대는 물론 베이비부머들의 은퇴시기를 늦추는 문제를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재정부는 신규 부가가치 창출 분야를 중심으로 채용인력을 늘리겠다는 입장이다. 충원분야에 대해서는 관계 부처들과 면밀한 검토를 거쳐 결정할 것을 당부한다. 책상머리에 앉아 ‘펜대’를 돌리는 사무직보다는 국내외 현장을 누비는 직원을 늘리는 것이 순리다. 공무원의 경우 위험을 무릅쓰고 불길 속으로 뛰어드는 소방공무원, 해상 강도나 다름없는 중국 불법 조업 선박을 단속하는 해양경찰을 현실에 맞게 충원하는 것이 한 방법일 수 있다. 공공기관의 신규 취업 확대가 마중물 역할을 함으로써 민간기업에도 채용 분위기가 확산되도록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