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이산화질소 10년째 기준치 초과
입력 2011-12-07 21:57
서울의 대기 중 이산화질소(NO2) 농도가 10년째 기준치를 넘은 것으로 나타나 서울시의 대기 환경 개선 정책이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산화질소는 적갈색의 자극성 냄새가 있는 유독성 대기오염 물질이다. 고농도의 이산화질소는 폐수종, 폐렴, 폐출혈 등 각종 폐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산화질소는 주로 경유를 사용하는 자동차에서 배출된다.
7일 ‘서울의 대기 중 이산화질소 저감 둔화 원인 분석 및 대응 방안’이라는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의 대기 중 이산화질소 농도는 2000년부터 2009년 사이 한 해도 빠짐없이 대기환경 기준치인 0.03뵞을 상회했다.
특히 보고서는 “도로변의 이산화질소 농도는 0.049뵞에서 0.057뵞으로, 주거지역에 있는 도시대기 측정지점의 농도는 0.034뵞에서 0.038뵞으로 나타났다”면서 “시가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했음에도 눈에 띠는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시는 2006년 ‘수도권 대기환경개선 기본계획 추진을 위한 서울특별시 시행계획’을 내놓으면서 2014년까지 대기 중 미세먼지와 이산화질소의 농도를 획기적으로 낮추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그간 추진해온 오염물질 배출량 저감 정책이 제대로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는 게 드러난 셈이다.
이산화질소 오염 원인으로는 경유차 보급 증가가 꼽혔다. 경유차의 질소산화물 배출허용 기준이 완화된 이후 휘발유차보다 질소산화물을 많이 배출하는 경유차가 급격히 늘어났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또 수도권에 있는 발전시설 등 사업장에서 연소된 연료 탓이라는 분석도 있다.
보고서는 이산화질소 오염도를 개선하기 위해 차량의 오염물질 배출 허용기준을 강화할 것을 제안했다. 최유진 연구원은 “오염물질을 많이 배출하는 차량을 친환경 저공해차량으로 교체하는 시기를 앞당겨야 한다”면서 “서울·경기·인천 공동으로 적극적인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