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난파 위기] 난감한 靑 “…”… 洪 사퇴 땐 영향력 급속 상실
입력 2011-12-07 18:18
청와대는 한나라당 ‘홍준표 체제’가 붕괴 위기 상황을 맞자 난감한 표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7일 한나라당 상황과 관련해 “당의 고민과 충정을 이해한다. 지켜보자”고만 했다. 다른 관계자는 “우리가 할 수 있는 게 뭐가 있겠나”라며 속수무책인 상황의 답답함을 토로했다. 이명박 대통령의 반응을 묻자 청와대 인사들은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역대 정권마다 여당은 임기 말 정치적 위기에 몰리면 대통령에게 탈당을 요구하며 돌파구를 찾아왔다. 이번엔 ‘선관위 디도스 공격’이란 대형 악재에 그런 과정도 생략한 채 여당이 먼저 ‘해체’와 ‘재창당’을 꺼내들었다. 그만큼 위기 수위가 높고 진행 속도도 빠르다. 청와대로선 전례가 드문 임기 말 당·청 관계에 직면한 셈이다.
내부에선 홍 대표 체제가 유지되길 바라는 심정이 읽힌다. 홍 대표까지 사퇴해 지도부 공백 사태가 벌어지면 예산안 처리는 기약조차 할 수 없기 때문이다. 홍 대표는 수시로 이 대통령을 독대하고 임태희 대통령실장 등과 조율하며 당·청을 잇는 연결고리였다. 이번 사태로 박근혜 전 대표가 전면에 나설 경우 여당에 대한 청와대의 영향력은 현저히 줄어들 수밖에 없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예산안 처리 등 당에서 책임지고 처리해줘야 할 문제들이 있다. (사퇴 대신 수습을 택한) 홍 대표의 방향이 맞는다고 본다. 대표까지 사퇴하는 건 무책임하다”고 말했다. 또 “박 전 대표가 전면에 나서려면 좀더 시간이 필요할 듯하다”며 조심스러운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청와대는 이날 하루 종일 여의도를 향해 촉각을 곤두세우며 당 상황을 주시했다. 내부적으로는 홍 대표 체제로 쇄신 작업이 이뤄질 경우와 박 전 대표가 전격적으로 당 전면에 나설 경우, 재창당 수준의 ‘헤쳐모여’가 이뤄질 경우 등을 상정해 대응책을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번 사태는 당에서 벌어진 일이라 청와대가 개입할 수 없고 개입해서도 안 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