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4대강 보 누수 가볍게 여겨선 안 된다
입력 2011-12-07 01:22
우여곡절 끝에 시작된 4대강 살리기 사업이 또다시 구설에 올랐다. 이번엔 안전성 논란이다. 4대강 사업 구간에 들어선 16개 보(洑) 가운데 절반이 넘는 9개에서 누수가 발생한 것이 계기가 됐다. 물이 샌 곳은 상주보와 낙단보 구미보 등 낙동강 수계 8개 보 전부와 금강 공주보다. 주무부처인 국토해양부는 누수량이 미미해 물이 살짝 비치는 정도의 경미한 수준이어서 충분히 보수가 가능하며, 전문가 진단에서 구조적 안전성에도 문제가 없다고 판단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아직 준공도 안 됐는데 물이 새어 나오는 곳이 이토록 많다는 것 자체가 우려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더욱이 24조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이 들어간 사업임에도 보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는 게 선뜻 이해되지 않는다.
환경단체와 전문가들은 속도전으로 인한 부실공사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공기를 단축하느라 겨울철에도 한밤중에도 무리하게 공사를 진행하는 바람에 누수가 발생하게 됐다는 것이다. 낙동강 수계에 누수가 집중된 것도 국토부와 경남도가 사업권 회수 다툼을 벌이며 수개월간 공사가 지연되자 공사를 서두른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이들은 주장한다. 특히 보가 당장 붕괴되지는 않겠지만 겨울철에 물이 콘크리트 구조물 안으로 스며들게 되면 녹았다 얼었다를 반복하면서 균열이 커져 결국 내구성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하고 있다. 댐의 경우 일반적으로 물이 콘크리트 구조물을 통과하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는 국토부 해명에 대해서도 댐이 방수가 안 돼도 괜찮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반박하고 있다.
국토부는 외부 전문가를 참여시켜 16개 보에 대해 세부 점검을 하고, 점검 결과에 따라 보수재 주입 등 하자보수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에 따라 4대강 본류 구간의 준공도 내년 4월 이후로 연기했다. 국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당연한 조치다. 객관적인 안전 점검을 위해 비판적인 시민단체 관계자들을 참여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길 바란다. 보수작업이 임시방편에 그쳐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