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빚더미 용인시 100억 예술단이 웬말

입력 2011-12-06 17:43

무리한 경전철 사업으로 5000억원의 빚더미에 앉아있는 경기도 용인시가 100억원이나 들여 시립교향악단과 국악단을 창단키로 했다. 지난해 7월 취임한 김학규 시장의 공약이라 내년 2월까지 관련 조례를 개정해 사업을 추진한다고 한다. 공약은 이행돼야 하고 교향악단 창단은 시민들의 문화생활 향상에 이바지하는 만큼 비난만 할 일은 아니라고 본다.

그렇지만 용인시의 재정 형편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예술단 창단에 100억원이나 퍼붓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 용인시는 경전철 사업 협약이 해지되는 바람에 민간사업자가 요구하면 당장이라도 최소 5157억원의 공사비를 지불해야 할 형편이다. 시가 민간사업자에게 줘야 할 공사비 이자만 하루에 무려 6700만원이다.

시의 내년 예산 1조6845억원 가운데 필요 경비를 뺀 순수한 사업예산은 2497억원에 불과하다. 경전철 공사비 때문에 올해 예산보다 무려 1000억원이나 줄어든 규모다. 이 때문에 당장 필요하지 않은 사업은 중단되거나 축소됐다. 영어마을 건립이나 시립골프장 건립 등도 중단됐다. 사정이 이런데도 거액이 드는 예술단 창단을 고집하고 있어 시의회와 시민들이 반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예산이 없다면서 고작 1년에 12억원이 드는 여자핸드볼팀을 해체키로 한 용인시가 훨씬 많은 돈이 들어가는 예술단을 창단한다면 누가 효율적인 예산편성이라고 하겠는가. 예산 절약을 이유로 연말까지 직장운동부 22개 종목 가운데 11개 팀을 해체해 수많은 운동선수들을 길바닥으로 내몰면서도 공약 이행만 고집할 수 있는지 되묻고 싶다.

용인시는 충분한 조사 없이 예산을 편성하는 바람에 애물단지로 둔갑한 경전철의 교훈을 벌써 잊어버리기라도 했단 말인가. 오죽했으면 시민들이 나서 경전철 사업 관련자들을 검찰에 고소했겠는가. 인구 90만명을 넘어서는 매머드급 시에 맞게 사업의 우선 순위를 현명하게 정해 제2의 경전철 사태를 미리 막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