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룹 대북송금 수사 본격화… 비자금 진실 풀릴까
입력 2011-12-05 21:54
검찰이 2003년 현대그룹 비자금 대북송금 의혹 사건의 핵심 고리였던 김영완(58)씨를 불러 조사한 데 이어 당시 현대그룹 임원을 참고인 자격으로 소환을 통보하는 등 관련 수사를 본격화하고 있다.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는 5일 현대그룹 전 회계담당 임원이었던 박모씨를 참고인 자격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었지만 박씨가 출두를 거부해 조사를 진행하지 못했다. 대검 관계자는 “김씨에 대한 조사 이후 확인할 것이 있어 박씨에게 소환조사를 통보했다”며 “박씨가 불응함에 따라 소환 일정을 다시 잡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박씨는 현대상선 회계담당 임원으로 근무하던 2000년 2월 현대상선 미주법인이 김씨가 알려준 스위스 비밀계좌로 3000만 달러를 송금할 때 실무를 담당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2003년 7∼8월 고(故) 정몽헌 당시 현대그룹 회장이 검찰 조사에서 “권노갑 전 민주당 고문의 요청으로 김씨가 제시한 스위스 은행 계좌에 현대상선 자금 3000만 달러를 보냈다”고 진술한 직후 갑자기 자살하면서 관련 수사는 중단됐다. 당시 검찰 조사와 공판 과정에 따르면 김씨는 2000년 1월 서울시내 모 호텔 커피숍에서 권 전 고문의 부탁을 받고 현대그룹 측에 관련 계좌번호를 전달한 의혹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검찰 수사는 당시 중단됐던 3000만 달러의 송금처와 성격을 규명하는 데 일단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정 전 회장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수사를 중단했지만 관련 증거는 어느 정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004년 말에는 3000만 달러 송금 당시 현대상선 사장이었던 김충식씨를 불러 송금 관련 정황들을 조사하기도 했다.
앞서 검찰은 3000만 달러 외에 권 전 고문의 부탁에 따라 2000년 3∼4월 정 전 회장의 비자금 200억원을 권 전 고문에게 전달한 혐의의 공범으로 기소중지했던 김영완씨를 지난달 26일 소환해 조사했다. 김씨는 조사 후 출국해 검찰과의 사전교감설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검찰은 필요하면 언제든 김씨를 불러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