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교회 차원 선교는 한계… 선교단체와 연합체제 구축해야

입력 2011-12-05 20:49


한국교회 선교의 성숙을 위해서는 개교회 선교와 선교회 중심 선교가 상호 보완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장신대 한국일(선교학) 교수는 “한국교회 선교는 교회 개척, 프로젝트 중심의 선교를 개교회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지만 정작 선교에 필요한 인프라를 갖추는 것에는 관심이 없다”며 “파송 위주 구조에서 시스템을 갖추는 구조로 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교수는 3일 서울 인수봉로 한신대 신대원에서 열린 한국선교신학회(회장 박창현) 제5차 정기학술대회에서 ‘선교 패러다임의 비교연구: 교회의 선교와 선교회의 선교’를 발표하고 개교회 중심 선교와 선교회 중심 선교의 상호협력을 역설했다.

교회와 선교회 간 협력 필요성은 현재 한국교회 선교가 개교회 위주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선교지에 파송된 선교사는 선교부에 의한 정책이나 전략보다는 파송 교회의 관심에 따라 선교를 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그 결과 한 선교지 안에서 이중, 삼중의 선교활동이 이루어졌고 정작 선교사가 필요한 미전도 지역에 파송되거나 전략적 선교 접근 방식은 어려웠다.

한 교수는 “한국교회 선교는 한마디로 정리하면 ‘파송위주 선교’를 행하고 있다”며 “선교사를 파송하고 그의 생활비를 지원하는 것으로 선교를 이해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교단 선교부나 교단을 초월해 세워진 선교협의회에서도 선교 인프라 구축을 우선적 과제로 삼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개교회주의 선교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후원교회 차원의 연합체제가 필요하고(파송, 돌봄, 은퇴) 현지에서의 사역 과정(정착, 사역, 관리)에 선교사 간 연합체제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서구의 전통 있는 선교단체나 선교회(독일 리벤첼선교회, 오엠국제선교회 등)는 이 두 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하고 있으나 국내 교단 선교부는 아직까지도 열악한 상황이라는 지적이다.

한 교수는 대안적 원칙 7가지를 제시했다. 첫째 현재 개교회 중심의 선교사 파송 구조를 극복해야 한다. 둘째 선교사들이 개교회의 직접적인 영향을 벗어나 현장중심적인 활동을 해야 한다. 셋째 선교사들이 교체될 때 사역의 연속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

넷째 선교사들은 파송만이 아니라 구체적이며 일관성 있고 현지에 적합한 선교정책을 갖고 가야 한다. 다섯째 선교사들은 가족과 함께 정기적이며 구체적으로 육체와 정신적 돌봄을 받아야 한다. 여섯째 선교사의 후원과 돌봄은 파송교회의 변화와 상관없이 지속성을 가질 수 있는 구조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일곱째 교단 파송 선교사는 가능하면 역사와 전통이 오래된 선교단체에도 소속할 수도 있도록 이중 멤버십을 허용해야 한다. 이는 정책, 현지 중심, 협력, 지속성, 선교사 케어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교수는 교단 선교부를 향해서도 교단 총회의 신학과 정책에 기초해 선교 정책, 방향의 큰 그림을 제시할 것, 선교 전문화와 체계적 운영을 위해 다양한 선교회(노회)와 현지선교회 설립을 용인할 것 등을 제시했다.

신상목 기자 sm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