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오픈 프라이머리’ 만지작 왜… 인위적 물갈이 논란 잠재우기
입력 2011-12-05 18:35
한나라당 지도부가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개방형 국민참여 경선제도) 도입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주겠다는 명분에서다.
당원이 아니라도 정당의 내부경선에 참여해 후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 프라이머리는 2006년부터 잊을 만하면 한 번씩 나오는 정치권의 단골 메뉴다. 한때 한나라당에서도 나경원 최고위원 주도로 한창 논의되다가 “여야 동시 도입이 어렵고 경선관리가 쉽지 않으며 경선 후유증과 비용 부담도 만만치 않다”는 당내 여론에 부딪혀 중단된 상태다.
그럼에도 또 다시 이 카드가 등장한 것은 기존의 당내 결정방식으로 공천이 진행될 경우 일어날 수 있는 계파 간 공천 다툼이나 인위적인 물갈이 논란을 피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이다.
지도부에선 원희룡, 남경필 최고위원이 가장 적극적이다. 남 최고위원은 5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기존 방식대로 (공천)해서는 민심을 회복하기가 쉽지 않다”고 강력하게 도입 필요성을 제기했다. 황우여 원내대표도 “여야 합의가 안 되면 여당 단독으로라도 추진해야 한다”고 불을 지폈다.
이런 가운데 박근혜 전 대표가 언론 인터뷰를 통해 오픈 프라이머리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내놔 추후 논의 향배가 주목된다.
박 전 대표는 공천권을 국민에게 준다는 취지에 공감을 표하면서도 “역(逆)선택의 우려가 있는 만큼 시행하려면 여야가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측근 의원은 “요즘 같은 상황에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해 누구를 뽑자거나 뽑지 말자는 식으로 쉽게 역선택할 수 있다”며 “중앙선관위에서도 이런 이유로 여야 동시 도입을 권유한 것 아니냐”고 말했다.
당내에선 이처럼 취지엔 동감하나 현실적으로 가능하겠느냐는 회의론과 함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다. 한 당직자는 “선관위가 선거 사무를 위탁 관리해주지 않는 이상 당 사무처에서 이를 어떻게 감당하겠느냐”고 말했다. 수도권 중진 의원은 “조직과 지명도에서 우위에 있는 현역 의원이 유리한 방식”이라며 “쇄신의 일환이라지만 거꾸로 쇄신에 역행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