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세대공감회의’ 신설… 세대간 소통 강화 나선다
입력 2011-12-05 18:37
이명박 대통령이 5일 10·26 재보선 민심을 수용하기 위해 ‘세대공감회의’란 이름의 상설 회의체를 신설하는 등 청와대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임태희 대통령실장 교체를 비롯한 후속인사는 주말쯤 이뤄질 전망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실장엔 ‘측근·회전문 인사’를 배제한 새롭고 젊은 인물이 발탁될 수 있다”고 말해 40대 대통령실장이 나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날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의결돼 12일부터 시행될 조직 개편안에 따르면 국민소통비서관은 사회통합수석실 선임비서관으로 승격되고 그 산하에 세대공감회의와 관련 정책을 주관할 ‘세대공감팀장’이 신설된다.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은 “재보선에 나타난 ‘2040’세대 이슈를 국정에 효과적으로 반영키 위한 조치”라며 “세대공감회의는 외부인도 참여해 다양한 형태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재보선 이후 인적·정책적 쇄신 요구를 받아왔다. 세대공감회의가 정책쇄신을 위한 조치라면, 인적 쇄신을 보여줄 상징적 조치는 현재로선 후임 대통령실장 교체뿐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 등 기존에 거론된 인사들은 측근·회전문 인사라는 비판을 받아 또 ‘욕먹는 쇄신’이 되기 쉽다”며 “40대나 50대 초반의 참신한 인물을 찾고 있다”고 했다.
정책실장은 직제를 유지하되 후속인사에서 공석으로 비워두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사의를 표명한 백용호 정책실장은 청와대를 떠날 것으로 보인다. 정책실장 보좌역인 정책기획관실은 장다사로 실장이 맡고 있는 기획관리실로 통합된다.
총무비서관실과 민정수석실은 임기 마지막 해를 앞두고 강화됐다. 대통령실 기록물 정리 등 임기 5년차 업무 증가에 대비해 총무비서관을 총무1, 총무2 비서관으로 확대했다. 민정수석실 산하에 감찰1팀(친인척 관리)과 감찰2팀(내부 감찰)을 공식 신설해 감찰 기능도 강화했다.
4대강,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홍보 등이 마무리된 정책홍보비서관은 국정홍보비서관으로 이름을 바꿔 홍보수석실로 이관하고 해외홍보비서관을 폐지하는 대신 외신대변인(선임행정관)을 신설했다. 이로써 청와대는 ‘1대통령실장·1정책실장·8수석·4기획관·46비서관’ 체제로 기획관 자리가 하나 줄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