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의원 비서 디도스 공격 파문] 소요비용 5억∼6억 추정… 돈은 어디서 나왔나

입력 2011-12-04 20:56

[이슈분석] 개인적 행동이라지만… 커지는 의혹

‘과연 27살짜리 수행비서의 단독 범행일까?’

10·26 재·보궐 선거일에 중앙선관위 홈페이지 등을 디도스(DDoS) 공격한 사건에 대한 갖가지 의혹이 정치권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한나라당은 최구식 의원 수행비서 공모씨의 개인 돌출행동이라고 말하지만 장기간 사전 준비와 거액이 투입되는 디도스 공격 특성상 일개 의원 비서의 단독 범행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의견이 야당뿐 아니라 여권 내부에서도 나온다.

여권 내 한 인터넷 전문가는 4일 “디도스 공격은 사기업을 대상으로 할 경우 해커 등에게 제공할 대가를 포함해 비용이 최소 1억원, 정부 기관을 공격할 경우 3억∼5억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해커 세계에선 선관위와 ‘원순닷컴’ 공격에 따른 대가가 5억∼6억원은 될 것으로 추정한다. 돈 거래가 없었다면 사후에 지급하기로 약속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 사이버테러 진상조사단 소속 이석현 의원도 “굉장한 위험을 무릅쓰고 한 일이니 최소 수억원의 금전거래가 있었을 것이다. 큰돈을 누가 줬겠느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한나라당 고위 관계자는 “공씨가 인터넷 도박을 했나보더라”며 자금 출처로 도박자금을 지목하기도 했지만 이 역시 범행 동기를 명쾌하게 설명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경찰 정보에 정통한 여권 관계자는 “선거 전날 범행을 지시한 것이 아니고 공모 기간이 최소 한 달 이상이었다는 게 경찰 판단”이라고 전했다. 범행이 장기간에 걸쳐 이뤄졌다는 것이다.

한나라당 서울시장 후보였던 나경원 최고위원과 당 지도부의 범죄사실 인지 여부에 대해서도 갖가지 추측이 나돈다. 당시 나 후보 캠프 관계자는 “선거 초반 ‘도저히 이길 수 없는 상황이니 반칙을 쓸 수밖에 없다’는 조언이 잇따랐으나 나 후보는 이를 묵살했다”고 말했다. 나 최고위원은 범행 공모 사실을 몰랐을 것이란 추정이다.

그러나 여권이 사후에 이 사건을 보고받았을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 이미 한나라당 지도부나 청와대 측이 지난달 말 수사 상황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는 소문이 이어지고 있다. 만약 경찰이 수사 결과 발표 전에 여당 지도부 등에 사건 내용을 미리 흘렸다면 문제가 될 소지도 있다. 최 의원이 경찰의 ‘용의선상’에서 완전히 배제된 게 아닌 상황에서 경찰이 용의자한테 미리 사건 정보를 알려준 셈이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범행 목적과 관련, 야권 성향이 강한 젊은층의 투표를 방해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백원우 의원은 “무상급식 주민투표 때와 비교할 때 서울시장 선거의 경우 투표소 332곳이 장소를 변경했다”며 “서대문구는 48%, 강남구는 20%가 변경된 것만 보더라도 민주당 지지도가 강한 강북지역 투표소 변경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고 지적했다. 선관위 홈페이지가 다운돼 출근 전 투표하려한 20∼40대 젊은층이 투표소를 찾지 못하게 되고 결국 투표 포기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저지른 범죄였다는 얘기다.

한장희 김원철 유동근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