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공중부양’ ‘최루탄’이 원내지도부라니

입력 2011-12-04 18:08

민주노동당이 지난 2일 의원단 총회에서 강기갑 의원을 원내대표에, 김선동 의원을 원내부대표에 각각 선출했다.

강 의원은 2009년 1월 미디어법 처리 과정에서 국회 사무총장실 원탁 위에 올라가 발을 구르는 속칭 ‘공중 부양’ 등 폭력을 행사한 혐의로 기소돼 항소심에서 벌금 300만원을 선고받았다. 강 의원은 지난달 2일에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처리를 막기 위해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회의장을 점거하면서 위원장석 CCTV 카메라를 신문지로 가렸다가 비난을 받았다. 김 의원은 지난달 22일 한·미 FTA 비준안을 처리하던 국회 본회의장에서 최루탄을 터뜨린 장본인이다.

‘공중 부양’과 ‘최루탄 폭력’으로 국회를 얼룩지게 한 인사를 나란히 원내사령탑에 선출한 것은 코미디다. 다른 교섭단체들과 국회 운영 문제를 협의·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원내 대표단에 두 사람을 뽑은 것은 협상이 뜻대로 되지 않을 경우 폭력도 불사하겠다는 선전포고인가? 더구나 새 민노당 원내대표단은 조만간 출범할 통합 진보정당의 원내 지도부로 승계된다니 이번 인선은 야권통합에도 부담이 될 것이다.

원내대표단은 현역 국회의원이 맡아야 하는데, 의원수가 6명에 불과한 민노당에서 동반사퇴한 권영길 전 원내대표와 곽정숙 원내부대표, 이정희 당 대표를 빼면 강·김 의원 외에 1명밖에 남지 않는다는 점을 모르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다른 자리도 아니고 원내대표단이라면 최소한 국회 폭력을 자행하고 의회주의를 사실상 부정한 인물은 배제하고, 대안을 찾으려 고민했어야 마땅하다.

이번 인선을 놓고 “수류탄 던졌으면 대표 됐을 뻔했다”는 등의 냉소적 반응이 나오고 있다. 2004년 17대 총선에서 10명의 의원을 배출하며 진보 세력의 제도권 진입에 성공한 뒤 수권 능력 강화를 도모했던 창당 12년차 민노당의 현주소가 안타깝다. 더불어 이번 사태는 국회와 여당이 김 의원 고발에 미온적으로 대처해 자초한 측면이 있음을 엄중하게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