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울진원전 4호기 관리, 안전이 최우선

입력 2011-12-02 17:43

경북 울진원진 4호기 안전 문제가 논란을 빚고 있다. 원자로에서 발생한 고온의 물을 순환시키는 전열관에 무더기로 손상이 발견되자 이를 보수할 것인지 아니면 전열관이 들어 있는 증기발생기 자체를 교체할 것인지를 놓고 울진원자력본부와 환경단체 사이에 논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지난 9월 9일부터 원전 4호기를 대상으로 계획예방정비를 실시하던 울진원전 측은 정비가 필요한 전열관 수가 당초 예상했던 1000여개에서 3847개로 크게 늘어나자 정비 기간을 늘리고 보수작업을 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 환경단체에서는 전열관이 균열되거나 파단될 경우 핵연료와 직접 닿아 있던 방사성 오염수가 누출될 우려가 있다며 증기발생기 전체 교체를 주장하고 있다. 울진원전 4호기는 2002년 계획예방정비 중에도 증기발생기 세관 파단 사고로 냉각수 45t이 빠져나와 사고1등급인 백색경보가 발령된 적이 있다.

논란을 부추긴 것은 원전을 관리하는 한국수력원자력이 지난달 중순 세관만 막은 채 증기발생기를 사용할 수 있는 관막음 허용치를 18%로 올리자며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 심사를 의뢰한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관막음 허용률은 당초 8%였으나 지난 9월 14일 이미 10%로 상향됐다. 이를 두고 3000억원 이상이 드는 증기발생기 교체 비용을 줄이기 위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원전 문제는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격언처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 눈앞의 경제성만 따지다 보면 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져 천문학적 인적·물적 피해를 감수해야 하는 소탐대실의 우를 범할 수 있다. 더욱이 일본 사고로 원전의 안전성 문제가 전 세계적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원전 관리에 실수가 발생하면 원전 수출을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되돌릴 수 없는 대외 신인도 추락을 겪게 된다. 울진원전 관리자는 세관 손상 원인을 명확히 규명하고 관련 정보들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한편 안전성을 훼손하지 않는 만전의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원전 당국도 최악의 위험까지 염두에 둔 보수적인 정책을 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