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조정책 ‘수혜국’ 중심 전환… 세계개발원조총회 ‘부산 선언’ 채택 후 폐막

입력 2011-12-01 18:33

효율적인 국제 개발원조 방안을 모색한 제4차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가 1일 폐막됐다. 세계 160여개국 정부 대표와 70여개 국제기구 대표, 의회·시민사회·학계대표는 부산 벡스코에서 최종 회의를 갖고 총회 결과 문서인 ‘효과적인 개발협력을 위한 부산 파트너십’(부산선언)을 채택했다.

부산선언은 국제 원조정책의 패러다임을 ‘원조효과성’에서 ‘개발효과성’으로 전환하고 선진국과 신흥국, 민간 등 다양한 공여 주체를 포함하는 새로운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을 천명했다. 특히 중국 인도 브라질 멕시코 등 신흥국들이 새로운 원조 파트너로 참여해 주요 역할을 맡을 전망이다.

부산선언은 우선 국제 개발원조 4대 공통원칙으로 개발도상국의 주인의식, 결과 중심, 포용의 개발 파트너십, 투명성과 상호책임 등을 제시했다. 개도국의 주인의식을 첫머리로 강조한 것은 원조정책의 중심이 공여국에서 수혜국으로 바뀜을 의미한다. ‘주는 쪽’이 일방적 원조를 제공하는 게 아니라 ‘받는 쪽’이 스스로 개발전략을 세워야 하고 이에 맞춰 원조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선언에는 논의된 내용을 어떻게 이행해 나갈지를 다루는 ‘포스트 부산체제’ 구축에 대한 참가국 간 합의사항도 담겼다. 참가국들은 내년 6월 중 장관급 ‘글로벌 파트너십’ 회의를 개최키로 했다.

폐막식에 앞서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앙헬 구리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무총장과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앞으로 국제 개발원조는 OECD와 유엔개발계획(UNDP)이 각각 정책업무와 현장이행 업무를 나눠 맞는 체제로 운영될 것”이라고 밝혔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