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중앙銀 공조 ‘유럽 구하기’ 역부족”
입력 2011-12-01 21:37
미국 유럽 등 6개 주요 중앙은행들이 싼 이자로 ‘돈 풀기’에 나서자 글로벌 금융시장이 반짝 호재를 맞았다. 위기탈출 기대감도 높아졌다. 하지만 “선진국발(發) 위기의 본질을 잊은 채 잠시 숨통을 트여준 꼴”이라며 단기 효과에 그칠 것이라는 지적이 많다.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1일(현지시간) 유럽 경제가 침체 단계로 들어서고 있다고 비관적으로 분석했다.
◇“일시적 효과”=뉴욕과 유럽 증시는 지난 30일 3∼4% 폭등했다. 다우존스지수는 4.24% 올라 2009년 3월 이래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각국 중앙은행들이 미 연방준비제도(Fed)를 통해 달러를 더 싼 이자(현행 1%에서 0.5%로 인하)로 필요한 만큼 빌려주겠다고 발표한 공조 방안 때문이다. 여기에 중국 인민은행이 시중은행의 지급준비율을 0.5% 포인트 낮춰 물가를 잡는 대신 자금줄을 풀겠다고 선언한 것도 한몫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유동성 공급으로 당분간 불안감이 사라지겠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고 지적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위기의 한 축을 이루는 금융기관의 조달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에 불과하다”고 분석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과감한 대책들이 뒤따르지 않는다면 중앙은행들의 추가 조치에도 효과는 퇴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가디언은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의 물가와 실업률은 각각 3%대와 10%대를 유지하고 있는데, 어마어마하게 풀려나간 달러로 인플레이션, 달러화 약세 등을 겪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구세주 역할은=유로존은 결국 국제통화기금(IMF)과 유럽중앙은행(ECB)이 나서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유럽재정안정기금(EFSF)이 시장의 기대 수준인 1조∼2조 유로 규모가 아닌 5000억∼7500억 유로 수준의 확대에 그칠 것이란 전망에서다. 독일도 상황이 급박해지자 IMF 재원 확대 반대 입장은 철회했다. 하지만 정작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 총재는 멕시코시티에서 기자들과 만나 “다른 국가들을 위해 재원을 남겨둬야 하기 때문에 단독 지원은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ECB의 역할론이 다시 급부상 중이다. 세계 중앙은행들도 돕겠다는 마당에 유로존 위기의 직접 해결자로서 다시 등장할 때가 되지 않았느냐는 기대감도 나오고 있는 것이다. 특히 ECB의 추가적인 금리인하 등 조치가 이뤄질 것이란 예측이다. 대신 재정불량국들이 더 엄격한 긴축안을 실행하겠다는 전제가 깔렸다. ECB는 오는 8일 통화정책회의를 갖고 금리를 결정한다. 금리를 1% 포인트 내릴 수 있다는 전망이 많다. 한편 9일 만나는 유럽연합(EU) 정상들은 유로존 재정위기 해결을 위한 EU 조약 개정에 합의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된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