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벤츠 여검사 수사에 검찰 위상 걸렸다

입력 2011-12-01 17:40

부적절한 관계인 변호사로부터 벤츠를 받은 이른바 ‘벤츠 여검사 사건’이 점입가경이다. 당초 검찰에 이들을 처벌해 달라고 진정을 냈던 40대 여인이 부산과 창원의 법조계 인사들에게 향응을 제공한 새 의혹이 제기돼 대형 법조비리로 확대될 조짐을 보이기 때문이다. 검찰이 특임검사를 임명한 것도 갈수록 의혹이 커지는 이 사건을 조기에 진화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검찰은 우선 한 점 의혹 없이 사건의 실체를 파헤쳐야 한다. 30대 여검사와 40대 변호사가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통해 사건 청탁을 주고받은 과정을 분명히 밝혀야 한다. 또 여검사가 변호사에게 인사 청탁을 했는지 여부도 분명히 가려 관련자를 엄벌해야 할 것이다.

특임검사로 임명된 이창재 안산지청장도 국민들이 의혹에 찬 시선으로 이 사건을 보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인식하길 바란다. 후배 검사가 연루된 사건이라고 대충 대충 사건을 처리했다가는 치욕스런 특검이나 국정조사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진실을 밝혀내는 것이 특임검사의 본분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이번 사건은 지난 7월 검찰에 진정이 접수됐는데도 담당자들이 미루는 바람에 의혹이 더욱 증폭됐다. 대검은 여검사가 변호사가 제공한 벤츠를 타고 다닌다는 진정을 접수하고도 사건을 부산지검으로 넘겨버렸다. 자체 감찰을 강화한다며 공모를 통해 책임자를 임명하고 본부로 격을 올리고도 제 식구 감싸기에 열심이란 비판을 피할 수 없는 이유다.

꼭 1년 전에도 사건 관계인으로부터 그랜저를 받은 일명 ‘그랜저 검사 사건’으로 검찰은 홍역을 치른 적이 있다. 잊혀질 만하면 발생하는 이 같은 비리는 막강한 검찰 권한에 제동장치가 없는 현 시스템 탓이라는 지적을 검찰은 가슴에 새기길 바란다. 이번 벤츠 여검사 사건마저 흐지부지 처리했다가는 수사권 독립을 요구하는 경찰에 모든 것을 뺏겨도 할 말이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