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경제 국방 교육 통일 사회복지 법률 입법 등 교계가 ‘사회 공공정책’ 대안 제시한다
입력 2011-11-29 19:45
정부의 공공정책을 기독교 관점에서 평가하고 한국 교계와 정부 간 상호 갈등이 발생할 경우 건실한 대안까지 제시하는 ‘공공정책 포럼’이 28일 경기도 부천 서울신대에서 출범했다.
공공정책 포럼에는 박명수(사진)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장을 중심으로 서울신대 백석대 안양대 서울기독대 아세아연합신학대 교수들과 국가조찬기도회 사무총장,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 총무 등 관련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하고 있다. 박 소장은 포럼 대표, 박창훈 서울신대 교수는 학술이사, 이영철 KWMA 총무는 대외이사를 맡아 활동한다.
공공정책 포럼은 앞으로 정부의 문화정책(백종구 교수), 경제정책(박창훈 교수), 국방·군종정책(박응규 교수), 교육정책(이은선 교수), 통일·북한정책(한화룡 교수), 사회복지정책(백선희 교수), 법률정책(최현종 박사), 입법정책(장헌일 박사) 등과 기독교의 관련 현안을 정리, 언론을 통해 정부 및 교계에 널리 알릴 예정이다. 특히 기독교가 한국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공공정책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데도 힘쓸 계획이다. 다종교 사회에 있어 종교 간 공정한 질서를 확립해 종교 간 불필요한 마찰도 제거해나가려 한다. 내년 초 기독교와 공공정책에 관한 단행본 발간도 추진한다.
박 대표는 “지난 2007년 대통령 선거 때 불교계에서는 자문단까지 만들어 불교계 현안에 대한 입장을 살피고 한나라당과 민주당에 제시해 대통령 후보들이 관련 정책 공약까지 내놓게 했다”면서 “그러나 한국 교계는 대통령 후보들의 정책 공약에 기독교 입장을 담아내는 어떤 시도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교과서와 사학법, 군종 문제, 해외선교 문제 등 한국 교회의 주요 어젠다가 정부의 공공정책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바람직한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 포럼을 출범하게 됐다”고 밝혔다. 박 대표는 “모 종교는 공직자 종교차별 관련 규정에 이어 기독교의 ‘공격적 선교’ 때문에 종교 간 평화가 깨진다며 종교평화법까지 제정하려는데 기독교계는 아무것도 모르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이영철 대외이사는 “2007년 아프간 피랍 사태의 경우 기독교가 조금만 일찍 사건 자체와 기독교를 분리 대응했더라면 후유증이 그렇게 크지 않았을 것”이라며 “한국 교계도 공공정책이란 틀에서 사회적 합의까지 도출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함태경 기자 zhuanji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