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통합 탈출구 여전히 못찾는 민주… 지도부 선출 방식 등 싸고 첨예 대립

입력 2011-11-29 23:38


야권통합을 위한 민주당 내부 갈등이 ‘뫼비우스의 띠’처럼 좀처럼 탈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민주당은 29일 의원총회를 열고 다음 달 11일 전당대회에서 야권통합을 의결하기로 당론을 모았다. 그러나 수임기구 권한 및 지도부 선출 방식 등을 둘러싸고 당권파와 독자전대파가 이견을 보여 진통이 예상된다.

손학규 대표 등 당권파는 오전 최고위원·당권주자 연석회의 및 오후 의원총회를 통해 손 대표와 박지원 의원이 합의한 ‘선(先)통합결의, 후(後)지도부 선출’ 방식의 통합을 위한 두 가지 조건을 제시했다. 다음 달 11일 전대에서 표결 없이 만장일치로 통합을 의결한 뒤 수임기구를 구성하고, 이 수임기구가 지금까지 ‘혁신과통합’ 등 비민주당 세력과 논의해 온 협상 결과를 토대로 연내 통합을 마무리 짓자는 것이다. 그러나 박 의원과 박주선 최고위원 등 독자전대파는 이 조건을 거꾸로 제안했다. 전대에서 통합 여부를 찬반 표결로 정하고 수임기구에서 통합 문제를 처음부터 다시 논의하자는 주장이다.

양측이 충돌한 부분은 수임기구의 권한 및 역할이었다. 당권파는 “이미 혁신과통합과 상당한 협의를 해놨으니 이를 추인해 달라”고 주장했지만 독자전대파는 “지금까지의 논의는 당헌·당규상 적법하지 않다”고 반박했다. 독자전대파 입장은 지도부 선출방식 등에 있어 혁신과통합 측 요구사항이 많이 반영된 당권파의 협상 결과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것이다.

분위기가 이렇자 혁신과통합 측 핵심 인사는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이 시민당원제, 온라인 참여강화, 청년참여 등의 기합의 사항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향후 통합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손 대표는 의총 마무리 발언에서 “마치 현 지도부가 통합을 논의하는 게 당헌에 위배되는 것처럼 말하는데 통합 준비작업은 당헌에 따른 지도부의 당연한 의무”라고 강조했다. 이용섭 대변인도 기자 간담회에서 “발언한 30여명 중 5∼6명만이 지도부의 제안에 반대했다”며 “박 최고위원 등이 제안한 방안은 수용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나 원외 지역위원장이나 일반 당원들의 생각은 다를 수 있어 갈등의 소지는 여전하다.

엄기영 김원철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