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편 출범 회오리] 광고 직거래 막기 ‘미디어렙 법안’ 제정 가장 시급

입력 2011-11-29 15:03

종합편성채널이 일단 개국하지만 미디어렙 법안 제정 운동 전개, 종편 모니터링 활동 강화 등 방송의 공공성과 공익성을 지키기 위한 노력은 지속돼야 한다는 지적이 언론시민단체와 학계를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다. 무엇보다 미디어 생태계를 혼란에 빠뜨릴 방송광고 직접영업을 막아야 하고, 이를 위해 미디어렙 법안을 하루 빨리 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거세다.

영향력이 큰 방송들이 광고주와 광고 직거래를 하게 되면 자본에 대한 언론의 견제와 감시 기능은 그만큼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특히 홍보기사와 광고 주고받기, 매체 영향력을 무기로 한 광고주 압박, 광고 끼워팔기, 방송과 신문광고 연계 판매 등 광고시장을 왜곡하는 일들이 다반사로 벌어질 것으로 이들은 내다보고 있다.

윤여진 언론인권센터 사무처장은 “종편에 이어 SBS 등 지상파까지도 광고 직거래를 하겠다고 나섰다. 이는 방송사들이 적자생존의 세계로 뛰어든다는 걸 의미한다”며 “미디어렙 관련 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는 게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말했다. 윤정주 한국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 소장도 “각 방송사가 직접 광고영업을 하게 되면 광고주 눈치를 보거나 광고와 기사를 거래하는 일이 벌어지게 돼 시청자들이 왜곡된 정보를 접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종편에 대한 감시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최영묵 숭실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종편들이 모체인 신문과 같은 논조를 유지한다면 여론 독과점 현상이 더 심화되는 것”이라며 “방송은 공익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영역인 만큼 신문과 종편의 논조가 분리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언론개혁시민연대는 종편 출범 자체가 여론 다양성 보장 취지에 역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종편 시청 거부 운동이나 종편 광고주들에 대한 불매 운동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라동철 선임기자, 박지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