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몰리는 홍준표 ‘흔들흔들’… 공천권 분리론·시한부 지도론 시달려
입력 2011-11-28 21:35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가 29일 ‘쇄신 연찬회’를 앞두고 정책 쇄신 기치를 내걸고 민심 다잡기에 나섰지만 당내 반응은 싸늘하기 이를 데 없다.
일단 신주류로 떠오른 친박근혜계와 쇄신파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고, 당·정·청 관계에서 주도권을 확실하게 쥠으로써 10·26 서울시장 선거 패배 이후 불거진 사퇴론을 불식시키겠다는 게 홍 대표 의도다. 측근은 28일 “친박계와 쇄신파, 청와대와 두루 통하는 인사는 홍 대표뿐”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신주류 내부의 기류 변화가 감지되면서 홍 대표 측 불안감은 다시 커지고 있다. 당분간 홍 대표 체제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인 친박계는 지도부로부터 공천권을 분리하자고 강조하고 있다. 현 체제가 유지되더라도 홍 대표의 힘은 빼놔야 한다는 얘기다. 친박계 최경환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기존에 선출된 권력이 마음을 비우고 공정하게 공천할 수 있는 역할까지는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친박계 상당수는 박 전 대표가 주장하고 있는 정책 쇄신안에 대해 정부와 청와대가 동의해 줄때까지 홍 대표 거취 문제 제기를 유보하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시한부 지도론’을 분명히 하고 있는 셈이다. 친박계 핵심 의원은 “70점짜리(홍 대표) 체제를 흔들어서 50점짜리 체제(친이명박계 이재오 또는 정몽준 당 대표 체제)가 되게 만들어선 안 된다는 판단에서 나온 대안”이라며 “잇단 설화를 감안할 때 총선 체제까지 맡기기엔 위험하다”고 말했다.
쇄신파 일각에선 “10·26 서울시장 선거에서 심판받은 홍 대표 체제를 끌고 가겠다는 발상은 한나라당 특유의 무사안일의 발로”라고 꼬집기도 한다. 정두언 의원도 이날 트위터를 통해 홍 대표 체제 교체를 역설했고, 다른 수도권 한 의원도 “(현 지도부 유지는) 공천권을 쥐려는 홍 대표 욕심과 내년 총선 이후 전면에 나서야 유리하다는 친박근혜계의 착각이 만들어낸 산물”이라며 직격탄을 날렸다. 구주류인 친이계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강행 처리 이후 ‘홍 대표 즉각 퇴진론’을 접은 모양새지만 언제라도 공세모드로 전환할 여지가 크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