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서장 폭행’ 계기 강경모드로… 민주 “종로서장은 잘했나” 반발
입력 2011-11-28 18:16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강행처리 이후 ‘로키’(Low Key·저강도) 행보를 이어가던 한나라당이 FTA 반대 시위대의 경찰서장 폭행 사건을 계기로 강경기조로 선회하고 있다.
김기현 대변인은 28일 논평을 통해 “정부를 향해 소통과 대화를 요구했던 좌파세력이 경찰서장이 내미는 대화의 손을 주먹과 발길질, 모욕적인 언행으로 앙갚음했다”고 비난했다.
지난주 경찰의 물대포 사용을 지적했던 당 지도부도 시위대의 폭력 행사에 비판 대열에 동참했다. 유승민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경찰서장이 아니라 의무경찰 한 명을 폭행했다 해도 똑같이 강력한 법집행이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지난 22일 한·미 FTA 비준동의안 처리 시 국회 본회의장에 최루탄을 터뜨린 민주노동당 김선동 의원에 대해서도 엄정한 법집행을 촉구했다. 남경필 최고위원도 “불법시위 현장에서 폭력을 휘두른 것은 어떤 이유에서든 용납될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경찰이 의도적으로 시위대를 자극했다며 반발했다. 정동영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당시 박건찬 종로 경찰서장의 면담 요청 과정을 공개했다. 그는 “경찰이 폭행사건 직전 면담을 요청해 ‘대화 상대를 지정해주겠다’고 답변했는데 내가 연설하는 도중 집회 진압을 시도했다”고 말했다. 정세균 최고위원도 “종로서장은 적절한 행동을 했느냐”며 “마른 섶을 지고 불에 뛰어드는 상황을 만드는 것이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특히 민주당은 “이명박 대통령이 29일 예정대로 비준안에 서명한다면 국민의 심판을 면하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야5당은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의 협정준수 여부 확인에 소홀했다며 직무유기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한편 국회 사무처는 지난 22일 비준동의안 처리 때 본회의장 방청석으로 통하는 4층 유리 출입문을 깨뜨린 민노당 당직자들을 공용물건 손상과 공무집행방해 혐의 등으로 검찰에 고발키로 했다. 한 관계자는 “국회 사무처는 김선동 의원에 대한 고발 필요성을 건의했다”며 “다만 국회의장 입장에서 국회 정상화와 내년도 예산안 처리를 함께 고심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