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先통합 後경선’ 합의
입력 2011-11-28 01:21
야권통합 방식을 둘러싸고 첨예하게 대치를 벌여온 민주당 손학규 대표와 박지원 의원이 27일 심야회동에서 12월 중 통합 결의를 추인하되 통합신당의 새 지도부는 내년 1월에 선출한다는 내용에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써 양측 간 갈등이 일단 수면 아래로 들어가게 됐고, 야권통합 작업에 다시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손 대표와 박 의원은 이날 밤 오후 9시부터 2시간 가까이 시내 모처에서 가진 회동에서 이같이 합의했다고 민주당 측 인사가 전했다. 두 사람이 합의한 방안은 지난 25일 민주당 의원총회에서 양측의 입장을 골고루 반영해 소속 의원들이 제시한 중재안으로, 현 지도부가 사퇴하기 전인 12월 17일에 당 차원에서라도 야권통합 결의를 이끌어내겠다는 손 대표 입장과 통합을 추진하더라도 당내 법적 절차는 지켜야 한다는 반발파 주장을 동시에 반영해 만들어졌다. 그러나 12월 17일 통합결의뿐 아니라 통합신당 지도부까지 뽑으려 했던 손 대표의 당초 방침이나, 통합신당 지도부에 앞서 민주당 단독 지도부를 먼저 뽑아야 한다는 박 의원의 원래 입장에서는 양쪽 모두 후퇴한 안이다.
1월에 선출되는 지도부가 야권 ‘중(中)통합’에 참여하는 혁신과통합, 시민사회세력, 노동계 등이 모두 참여해 선출하는 지도부여서 민주당 자체 전당대회를 개최할 경우 가장 유력한 주자로 꼽혀왔던 박 의원이 다소 불리해진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의 야권통합 서울시장 후보 경선과정에서 확인됐듯이 혁신과통합이나 시민사회, 노동계의 동원력이 기존 민주당 동원력을 훨씬 뛰어넘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양측이 전격적으로 합의한 배경에는 자칫 대치가 계속되면 분당(分黨) 등의 최악의 사태를 맞을 수 있고, 이럴 경우 양측 모두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작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야권통합 작업에 반발하는 지역위원장들이 28일 당에 임시 전당대회 소집요구서를 제출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양측 모두 합의를 서둘렀다는 후문이다. 현행 당헌에 따르면 임시 전대를 소집하면 무조건 전대를 열게 돼 있어 돌이킬 수 없는 파국 상태로 넘어가게 된다.
앞서 손 대표는 지난 25일 의원총회에서 나온 중재안을 바탕으로 주말 사이 독자전대파를 설득하기 위해 전방위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당 상임고문단을 통해 박 의원을 적극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의원 역시 당내에서 중재안에 대한 지지여론이 커지면서 더 이상 자신만의 주장을 지켜내기가 쉽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박 의원이 손 대표와의 회동에 앞서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에서 주재한 자신의 지지 국회의원 모임인 ‘수요모임’ 회의에서도 “어떠한 경우에도 자칫 분당으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은 피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손병호 김원철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