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英 대사 추방” 佛 “석유수입 중단”
입력 2011-11-25 00:48
이란이 자국 주재 영국대사 추방을 추진하는 등 핵개발 의혹을 문제 삼은 서방의 추가 경제제재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프랑스는 이란 석유수입 중단을 선언하는 등 압박을 강화해 긴장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이란 의회는 23일(현지시간) “영국인에게 죽음을” 등 격한 구호들이 난무하는 가운데 자국과 모든 금융거래 단절을 결정한 영국 대사의 추방을 요구하는 긴급법안을 상정했다.
이란 의회는 함께 발표한 성명에서 “영국 정부는 이란의 이슬람공화국 체제에 대해 깊은 증오와 적대감을 다시 한번 보여줬다”며 “영국은 이란 중앙은행에 대한 제재까지 선언, 이란공화국의 적의 위치로 한 걸음 더 다가섰다”고 비난했다.
긴급법안 표결이 예정된 오는 27일 의회와 혁명위원회의에서 모두 승인되면 영국과의 외교관계는 대사급에서 대리대사급으로 격하된다. 법안은 또 영국과 유사한 제재를 가하는 다른 국가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고 뉴스통신 파르스 등이 전했다.
영국 외교부는 고위급 채널을 열어놓는 게 매우 중요한 지금과 같은 시기에 이란 의회가 대사 추방 움직임을 보인 것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이번 주 초 이란에 대한 금융제재 계획을 발표한 미국과 영국, 프랑스, 캐나다 가운데 영국과 프랑스, 캐나다가 테헤란에 이란대사관을 두고 있다.
한편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이란 대통령은 이날 국영방송을 통해 내보낸 연설에서 서방의 주장과 달리 “우리는 핵무기가 필요치 않다”고 핵개발 의혹을 거듭 부인하면서 서방의 압력에 절대 굴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미국은 21일 이란 중앙은행을 비롯한 전 금융기관을 ‘주요 자금세탁 우려 기관’으로 지정했고, 영국도 같은 날 자국 금융기관들이 모든 이란 은행들과의 거래를 중단토록 했다. 프랑스 외교부는 24일 이란산 원유의 수입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은 추가 제재 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도 핵개발 포기를 압박하기 위해 이란 석유 수입금지 등 더 강력한 제재를 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병우 기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