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농촌출신 30여명 “2012년 총선 걱정된다”

입력 2011-11-24 18:33

여야 각 당과 의원들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처리 여파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벌써부터 낙선운동이 시작되는 등 내년 4·11 국회의원 총선거에 영향이 적지 않을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총선에서 제3세력 부상을 촉발시킬 것이란 전망도 있다.

가장 곤혹스러운 쪽은 30명 안팎의 농어촌 출신 한나라당 의원들이다. 이미 전국농민회총연맹 등 농민단체들이 지역구 사무실로 몰려가 항의하거나 낙선운동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지역구가 도시인 찬성 의원들에 대해서도 역시 진보진영 시민단체들이 낙선운동을 전개하겠다고 벼르고 있다.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도 찬성 의원과 지역구 명단을 게시하며 낙선시키자는 목소리가 확산 중이다.

때문에 요즘 여당 의원들은 농민단체들을 찾아가 비준동의안 처리의 불가피성을 해명하느라 진땀을 빼고 있다. 경기도 포천·연천이 지역구인 한나라당 김영우 의원은 24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지역구에 축산농들이 많아 FTA 찬성표를 던진 이후 (내가) 마음고생을 많이 하고 있다”며 “앞으로 대책마련을 열심히 해서 농민들이 이해하시게끔 하는데 최선을 다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가장 열심히 반대하는 농민단체들이 기존에도 한나라당을 싫어한 진보 성향이어서 선거 영향력이 아주 크지는 않을 것이란 시각도 있다.

총선보다는 내년 12월 대선 영향력이 더 클 것이란 분석도 있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윤희웅 조사분석실장은 “FTA 발효 이후 실물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나타나는데 시일이 걸려 당장 4·11 총선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 같다”며 “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한나라당 전통 지지층이자 여론 주도층인 도시 자영업자와 농어민들이 피해를 볼 수 있어 여당에 악재가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야당들은 이후 정국을 2004년 17대 총선 한 달 전에 있었던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때처럼 만들어갈 생각이 강하다. 당시 야당인 한나라당이 총선에서 압승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탄핵소추안 가결로 ‘한나라당 심판론’이 제기돼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총선까지 5개월 정도 남아 있어 실제 효과는 탄핵 때보다는 작을 것이란 주장도 있다. 민주당 핵심 당직자는 “우리 정치는 워낙 역동적이어서 5개월 뒤면 FTA는 이미 잊혀진 이슈가 돼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성 야당에 꼭 호재만은 아니라는 얘기도 있다. 윤희웅 실장은 “FTA로 기성 정치권이 시끄러울수록 새로운 세력에 대한 유권자들의 갈망이 커져 민주당도 외면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선 최루탄 사건으로 일반 국민들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고 있지만 진보 지지층에는 존재 의의를 확실히 각인시킨 민주노동당이 총선에서 가장 유리하게 됐다는 주장도 있다.

손병호 김나래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