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 통과 이후] 후폭풍 차단 나선 한나라 “보완대책 만전”
입력 2011-11-23 21:41
한나라당은 23일 한·미 FTA 비준동의안 처리와 관련, 후속대책에 주력할 것을 약속하며 후폭풍 차단에 분주했다. 전날 기습 처리에 대한 여론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운 채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도 취소하는 등 한껏 자세를 낮추는 모습이다.
홍준표 대표는 오후 기자간담회를 갖고 “여야가 전부 모여 매끄럽게 처리하지 못하고 야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표결처리하게 된 데 대해 국민 여러분께 정말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는 말로 입을 열었다.
홍 대표는 “한나라당은 피해산업 보전대책으로 민주당이 제시하는 끝없는 요구를 다 들어줬음에도 민주당은 한·미 FTA를 야권연대 고리로 삼아 정략적 반대로 일관했다”며 “심지어 날치기하라, 밟고 넘어가라는 극단적 모욕을 들어도 참고 또 참았지만 대한민국 국익을 위해 더 이상 미룰 수 없었다”고 전날 강행 처리의 불가피성을 재차 강조했다. 이어 “FTA로 피해 보는 농어업 축산인들과 중소기업 상공인을 위해 여야 합의로 세워 놓은 대책 이외에 어떤 부분을 추가로 세울지 깊이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황우여 원내대표도 기자들과 만나 “보완대책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부수법령 14건 외에 필요한 것이 더 있으면 추진하고 농어민 대책이 부족하다는 자유선진당 요구도 듣겠다”고 말했다.
황 원내대표는 선진당 김낙성 원내대표와 이르면 24일 만나겠다는 뜻도 밝혔다. 그는 또 “대통령이 약속했던 투자자국가소송제도(ISD) 재협상 요구를 이행하라고 정부와 대통령에게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황 원내대표는 “그동안 여야 합의처리를 강조해왔던 쇄신파 의원들의 목소리를 적극 받아들여 국회 선진화법 통과로 제도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한나라당은 29일 오후 김포공항 컨벤션홀에서 소속 의원 및 원외 당협위원장이 참여하는 ‘쇄신 연찬회’를 개최키로 했다.
한나라당은 유화책을 통해 국회 일정을 중단한 민주당 설득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민주당 역시 내년 총선을 의식해 예산에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는 데다 통합 전당대회 준비로 장외투쟁 동력이 크지 않은 상황에서 불필요한 자극은 피하겠다는 것이다.
한나라당은 일단 23일까지는 냉각기로 별도 국회 일정을 가동하지 않았지만 24일부터는 야당이 예산에 협의해 줄 때를 대비해 한나라당 자체적으로 민생 예산을 점검하기로 했다.
한나라당은 국회에서 최루탄을 터뜨린 민주노동당 김선동 의원에 대해서는 의원직 사퇴를 촉구했다. ‘최루탄 국회’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은 만큼 이를 부각시켜 한나라당에 대한 역풍을 최소화하려는 계산이 깔려 있다.
당내 일각에서는 2004년 노무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통과 이후 맞았던 역풍이 다시 일지 않을까 우려하는 분위기도 읽힌다.
한 수도권 의원은 “몸싸움이라는 최악의 상황은 피했고 비준동의안 처리에 대해 찬성 여론이 많긴 했지만 여론이 어떻게 번질지 몰라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나래 유성열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