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지자체, 공공요금 줄인상 ‘한파’… 서민 생활고 가중

입력 2011-11-22 19:21

전북지역 자치단체들이 지방공공요금을 줄줄이 인상해 서민들의 겨울 체감온도가 더욱 낮아질 전망이다.

22일 전북도와 각 시·군에 따르면 부안군은 다음달 1일부터 쓰레기봉투 값과 정화조 청소료를 30%정도 올려 받기로 했다.

부안군은 쓰레기봉투 값을 가정용 기준 20ℓ짜리 1장에 200원에서 260원으로 올리고 10ℓ짜리는 130원, 50ℓ짜리는 650원으로 인상했다. 정화조 청소료도 1㎥당 1만3500원에서 1만6610원으로 23% 올렸다. 군 관계자는 “10년 이상 동결시킨 탓에 어려움이 많아 현실에 맞춘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밝혔다.

다른 시·군도 정화조 청소료의 인상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앞서 군산시와 남원시는 연초에 정화조 청소료를 평균 11% 올렸다.

전주시는 지난달 상수도 요금을 18.4%, 하수도 요금은 80%나 인상했다. 나머지 시·군도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시·군들은 전주시의 상하수도 현실화율이 124%와 40%에 이르지만, 나머지 지자체는 평균 84%와 27%에 그치고 있다며 인상이 절실하다고 말하고 있다.

여기에 전북도와 시·군은 최근 시내버스 요금의 인상 폭과 시기를 협의하고 있다. 버스업계는 지역별로 10∼27%의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업계는 군산이 1000원에서 270원 올린 1270원, 전주와 완주 1100원(+100원), 익산 1370원(+270원), 정읍·남원·김제 1410원(+310원), 나머지 농어촌버스 운행지역은 1220원(+220원)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전북도는 버스요금이 5년째 동결돼 더 이상 인상을 억제할 수만은 없다는 것을 인정하고, 조만간 관련 위원회 회의를 통해 인상폭을 정할 계획이다. 한 관계자는 “버스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되면 부안 새만금교통처럼 폐업 사례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결국 주민 불편과 공적자금만 더 투입되는 악순환이 되풀이될 수밖에 없다”며 “하지만 인상은 하되 물가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는 선에서 조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