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英·캐나다, 이란 중앙銀 제재… 자금세탁 우려기관 지정
입력 2011-11-22 18:29
미국 영국 캐나다 등 서방이 핵무기 개발 의혹을 사고 있는 이란에 대한 새로운 제재에 나섰다.
특히 미국은 이란 중앙은행(CBI)까지 ‘자금세탁 우려 기관’으로 지정해 경제제재 수위를 한층 높였다.
미국은 21일(현지시간) CBI 등 이란 전 금융기관을 주요 자금세탁 우려 기관으로 지정하고 핵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개인을 포함해 기업 11곳을 ‘블랙리스트’에 추가하는 등 이란의 에너지 및 금융 부문에 대한 새로운 제재를 발표했다.
크리스천사이언스모니터는 미국이 CBI를 자금세탁 기관으로 지정한 것은 공식적인 제재는 아니나 과거 북한이나 레바논의 사례에서 보듯 해외 주요 기업과 CBI 간 거래가 사실상 중단되는 효과를 가져 올 것이라고 분석했다.
영국도 자국 금융기관들이 이날 오후 3시(GMT 기준)부터 CBI를 포함한 모든 이란 은행과의 거래를 중단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캐나다도 이란 정부와 사실상 모든 금융 거래를 단절하고 석유화학과 석유, 가스 등 에너지 부문에 이용되는 각종 물품의 수출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서방 주요 국가들의 이 같은 제재가 핵 프로그램에 대한 이란의 야심을 꺾지는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서방 국가들이 독자적 제재에 나선 것은 중국과 러시아가 버티고 있는 유엔 차원의 폭넓은 제재가 어렵다는 점을 방증한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실제 이날 러시아는 이란에 대한 제재에 반대한다는 성명을 내놨다. 제재 당사국인 이란은 효과가 전무할 것이라고 일축했다.
이란 추가 제재 소식으로 이날 브렌트유 1월물 선물은 주요 아시아 시장에서 전날보다 7센트 이상 오른 배럴당 107달러 전후에서 거래됐다. 로이터는 “제재에 따른 이란의 원유 수출 감소 가능성과 주요 원유 수출로인 호르무즈 해협 봉쇄 등 지정학적 위험이 선진국 경제침체에 따른 원유 수요 감소 전망을 압도했다”고 지적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이라크 등의 석유 생산이 회복돼 사우디에 대한 증산 압박이 실질적으로 감소했다며 1000억 달러 규모로 추진해 온 산유능력 확장 프로그램을 중단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이날 보도했다.
배병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