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만㎡ 창원 첨단산업단지, 잡초만 무성… 땅값 비싸 1년 다되도록 입주업체 한 곳도 없어

입력 2011-11-21 20:53


경남 창원시가 공영개발로 도시첨단산업단지(이하 첨단산단)를 조성한 지 1년이 다되도록 입주업체가 전무한 가운데 잡초만 무성해 예산낭비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21일 창원시에 따르면 통합시 출범 전인 2008년 11월 옛 마산시는 부족한 산업용지 확보와 미래 첨단산업 유치를 위해 마산합포구 우산동 8만여㎡에 첨단산단을 조성했다. 하지만 공사비 471억원을 들여 지난해 12월 준공된 이 첨단산단에는 아직 입주 기업체가 한 곳도 없다.

준공 이후 공장용지 10필지 7만5000여㎡에 대해 올 들어 두 차례 분양공고를 냈지만 소용이 없었다. 분양가격이 3.3㎡당 182만원으로 높아 입주 관련 문의조차 실종되면서 ‘분양실적 0’인 상황이다.

이 지역 출신 강용범 시의원은 “우산동첨단산단 조성은 2005년 11월 결정됐지만 정부와 충분한 협의가 안돼 그린벨트 해제가 늦어졌다”면서 “평당 15만원에서 20만원하던 땅값이 개발 기대심리로 인해 시가 본격 매입할 당시엔 평균 67만2000원까지 치솟아 조성원가를 높이는 결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공사비 471억원은 옛 마산시 재정 241억원, 지방채 230억원 등으로 조달됐다. 지방채는 당시 기획재정부의 공공자금관리기금(이자율 5.24%, 5년 거치 10년 상환)에서 빌렸다. 따라서 투자비 회수가 늦어지면서 지방채 상환이자로 매달 1000만원씩 주민혈세가 빠져 나가고 있다.

김모(67·마산합포구 우산동)씨는 “공무원들이 자기 돈으로 사업을 벌였다면 이렇게 방치하겠냐”며 “엄청난 세금이 들어갔는데도 풀만 무성한 상태로 방치되는 게 너무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현재 시는 입주 가능 업종 범위를 넓히거나 분양가를 낮추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분양가의 경우 산업입지법 시행령에 따른 보조금 지원을 정부에 요청해 3.3㎡당 144만5000원 수준으로 내리겠다는 것이다.

창원=글·사진 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